미디어가 표방하는 고령화 사회의 바람직한 노인상- 환영받는 시민으로 노년을 보낼 사명
한국언론학회 | 한국언론학회 | 32 pages| 2017.08.18| 파일형태 :
조회 951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우리사회가 고령화 시대의 노인을 어떤 존재로 재형성하고 있는가?’라는 문제의식 아래, 고령화 시대 미디어의 노인 담론을 분석한다. 노인이라는 특정 집단에 대한 담론 형성은 인간이 시대의 요구에 따라 담론의 대상으로서 어떻게 다뤄지고 어떠한 주체로 만들어져 가는지에 관한 보편적 사안에 대한 부분적 해답을 제공해준다. 푸코의 통치성 개념에 근거하여 진행된 다수의 기존 연구들에서 인식하고 있듯이, 신자유주의 체제하에서 인간은 이전보다 더욱 개인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고군분투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노인 역시 예외는 아니다. 정부 정책, 미디어 보도,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생산되고 있는 노인담론은 공통적으로 이 시대의 노인이 환영받고 인정받는 삶의 주인공이 되기 위하여 변함없이 사회경제적 주체로서의 기능을 다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노인의 독립성은 멋진 인생을 위한 미덕으로 강조되며, 주관적 젊음은 노인들에게 경제적 생산성을 보유한 존재가 될 것을 요구하는 사회적 가치를 덧입는다. 또한 주변을 보듬으며 자기 삶을 성숙한 자세로 받아들이는 어른으로서의 역할은 젊은 세대에게 사랑과 존경을 받는 조건으로 다루어진다. 이러한 담론은 국가와 사회의 돌봄 책무를 상대적으로 축소시키게 되며, 현실의 많은 노인들을 이상적 담론의 중심으로부터 밀어냄으로써 지속적으로 그들을 주변화된 타자로 고착시킬 수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 senior discourses in the aged society which is based on the idea that ‘what is our society reforming for the senior in the aged society?’. The formation of senior discourses is ultimately based on how the human being is treated as an object of discourse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how it is formed as a subject of discourses. As recognized in many previous studies based on concept of Foucault’s governmentality, in the era of neo-liberalism, human beings are struggling to increase individual values more than ever before, The elderly are no exception. The senior discourses produced in government policies, media coverage, and TV programs are common to the elderly of this age and act as a hero of a welcome and recognized life. And that it will continue to function as economic subjects. The independence of the elderly is emphasized by virtue for a wonderful life, and subjective youth is overlaid with social values that require it to be an entity with socio-economic productivity. In addition, the role of a senior who takes care of the surrounding people and accepts life maturely becomes a condition for receiving love and respect for the younger generation. These discourses relatively reduce the caring accountability of the state and society and push many real elderly people from the core of ideal discourses to consistently fix them as decentralized objects.
목차
1. 서론
2. 노년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들
3. 연구방법 및 분석대상
4. 활력 있는 장년으로 재개념화된 담론의 조건
5. 텔레비전이 유포하는 노년 담론들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고령화사회 노인주체 노인담론 미디어 통치성 aged society senior subjects senior discourses media representation governmentality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