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목 저자 출처 학회/발행처
가상 인플루언서의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 상호작용성과 혁신 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2024.03.25
광고일반 | 한국광고학회 (한국광고학회)
가상 인플루언서는 인간이 가진 위험요소를 예방하고 무한한 활용 가능성으로 소비자와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한 소비자 의 심리적 불편감과 같은 부정적 요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혁신저항모델에 근거하여 소비자의 인지된 개방성 수준에 따라 가상 인플루언서와의 상호작 용의 관계와 혁신 특성, 혁신저항감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인지된 개방성 수준이 높을수록 가상 인플루언서와의 상호작용성이 긍정적으로 나타났 고, 상호작용성이 높을수록 혁신저항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호작용성이 긍정 적이면 가상 인플루언서의 적합성을 긍정적으로 인지하는 정(+)적 매개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 한 결과는 가상 인플루언서와의 상호작용을 유발하고, 긍정적으로 확산시켜 소비자와 브랜드 간 사회적 관계성을 공고히 형성하여 향후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학술적, 실무적 근거로써 의의 가 있을 것이다.
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은 브랜드화가 가능한가? | 2024.03.25
광고일반 | 한국광고학회 (한국광고학회)
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은 자신만의 개별 브랜드화가 가능한가? 이에 대한 의문을 바 탕으로 본 연구는 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탐색해 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의 브랜드 자산 구성 여부를 파악하고 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의 브랜드 화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구체적으로 개방형 응답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 터를 수집했으며, LDA 알고리즘에 기반한 토픽 모델링을 활용해 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의 브랜드 자산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298개의 설문지에서 총 4,172개의 응답을 확보 했으며 총 8,423개의 명사, 형용사, 동사를 추출하였다. 키워드를 바탕으로 오리지널 콘텐츠 유튜 브 채널 자산 토픽은 4개(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 이미지, 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 충 성도, 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 품질, 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 인지도)가 추출되었다. 추 출된 토픽 중 토픽 3(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 품질)이 30.6%의 비중을 차지하며 가장 중요 한 자산 요소로 나타났고, 뒤를 이어 토픽 1(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 이미지, 26.4%), 토픽 4(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 인지도, 24.9%), 토픽 2(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 충성도, 18.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의 브랜드화 가능성에 대 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차별성과 경쟁력을 지닌 콘텐츠 제작 및 채널 운영에 필요한 마케팅 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배제맥락이 개인주의적 메시지와 집단주의적 메시지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 | 2024.01.12
광고일반 | 광고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맥락의 차이에 따라서 개인주의적 혜택 또는 집단주의적 혜택을 강조하는 메시지의 상대적 효과가 달라지는지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만일 그렇다면 그 차이가 어떠한 심리적 매개경로에 의하여 발생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20대 성인남녀 22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의 가상적인 이벤트에 대한 개인주의적 메시지 또는 집단주의적 메시지에 노출시킨 후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첫째, 거절 맥락에서는 집단주의적 혜택을 강조하는 메시지가 개인주의적 혜택을 강조하는 메시지보다 이벤트 참여의향을 높여주는 반면, 무시 맥락에서는 개인주의적 메시지가 집단주의적 메시지보다 이벤트 참여의향을 강화시켰다. 둘째, 사회적 배제맥락에 따라서 개인주의-집단주의적 메시지 유형의 상대적 효과가 존재감위협과 자존감위협에 의하여 매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절맥락보다 무시맥락에서 존재감위협과 자존감위협을 더 많이 느끼며, 존재감위협과 자존감위협을 더 많이 느낄수록 개인주의적 메시지 노출 시 이벤트 참여의향이 높아지는 반면, 집단주의적 메시지 노출 시 이벤트 참여의향이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배제맥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차이, 구체적으로 배제이유의 명시성 정도에 따라서 개인의 행동동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결과 개인주의적 혜택 또는 집단주의적 혜택을 강조하는 메시지에 대한 수용도도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누가 모바일 광고의 어떤 정보에 반응하는가- 이미지 선호 성향이 모바일 광고 가치에 대한 지각과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2017.10.24
광고일반 |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광고홍보학회)
모바일 및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모바일 광고를 집행하고 있다. 특히, 1인 매체인 스마트폰을 통한 광고는 노출도가 높아 기업들이 선호하는 광고유형이나 그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모바일 광고에 대한 기존 연구는 모바일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보다는 사용자의 환경, 상황, 메시지 특성과 같은 외적 요인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이 맞춰져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주로 연구되어 왔던 모바일 광고 속성을 비롯한 외적요인 이외에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이 모바일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인지 양식(cognitive style) 중 이미지 선호 성향에 따라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29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의 이미지 선호성향에 따라 광고의 정보적 가치와 오락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와 같이 지각된 광고의 정보적 가치와 오락적 가치는 모바일 광고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이미지 선호 성향이 높을수록 모바일 광고의 오락성과 정보성이 가치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지각된 광고의 정보적 가치와 오락적 가치가 콘텐츠 성향이 모바일 광고 태도에 대한 영향을 매개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모바일 광고 제작 시 타깃 소비자가 선호하는 콘텐츠를 최적화시켜 광고를 실시하여야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has resulted in increasing use of mobile devices to deliver advertising. Although increasing number of companies have adopted mobile advertising, the effects of mobile ad are questionable. Previous studies on mobile advertising have focused on external factors rather than consumer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mobile a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s regarding mobile advertising and cognitive style, this study explores how consumers’ content preference influences their responses to mobile advertising. A survey of 296 participants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content preference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sumers’ perceived informative value and perceived entertainment value of mobile ad. Moreover, the results reveal that perceived informative value and perceived entertainment value mediate the effects of content preference on attitude toward mobile a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lso provided in this study.
고령 사회, 인쇄 광고에 나타난 노인의 모습 | 2017.10.24
광고일반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광고에서 노인은 아직도 소수에 지나지 않았다. 특히 여성, 외국인 노인은 소수 중의 소수였다. 양성평등 시대,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짚어 봐야 할 문제다. 노인은 노인 타깃 광고에 주로 등장했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는 노인과 비노인 사이에 경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방증한다. 이것은 잡지 광고에 노인 등장이 드물다는 것과도 연관된다. 잡지 광고는 절반 이상이 패션, 스포츠, 화장품 광고임을 생각할 때 이러한 미의 영역에서 노인이 소외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타깃과 매체뿐 아니라 제품군에서도 경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 등장 광고의 절반이 관공서/단체 광고였다. 비록 모든 제품군에서 노인이 등장하여 노인은 노인 제품 광고에만 등장한다는 인식에는 변화가 엿보였지만 아직도 노인은 기관, 단체에서 펴는 정책의 대상으로서의 인식이 적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노인은 광고 속에서 더 이상 배경이 아니라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미지도 매우 긍정적이었다. 대부분이 행복하거나 전문가답고, 여유롭고, 활기찬 모습이었다. 노인은 이제 이른바 ‘뒷방 늙은이’가 아니다. 노인이 다른 연령층과 함께 등장하는 모습, 어울리는 모습이 많다는 것 또한 이것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청소년과 함께하는 모습은 볼 수 없다는 점, 외국인 노인은 어울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들은 여전히 세대 간, 국적 간 간극을 드러내고 있었다. 노인들은 이제 가정이나 일터에 고정되어 있지 않았다. 이제 노인은 남·여, 내·외국인 할 것 없이 ‘뒷방’에서 나와 당당히 활동하고, 즐기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었다. 그러나 노인은 말이 없었다. 말을 하는 경우에도 10어절 이상인 경우는 없었다. 자신의 주장을 펴는 적극적인 모습보다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소극적 모습을 보여 주고 있었다. 이것은 노인이 사용하는 문장 유형의 대부분이 서술문이고 청유문, 명령문이 극히 적다는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말의 내용은 문제 해결, 민족/애국 등이 많았다. 노인을 이해하는 프레임이 이성적이고 계층적이라는 것이다. 노인을 지칭하는 호칭은 없는 경우가 절반이 넘었다. 노인이 아직 주체적인 존재로서 인정을 받지 못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호칭이 있는 경우 성명, 직책으로 불리는 경우가 나이든 사람이나 가족관계를 가리키는 일반명사보다 더 많다는 것은 노인이 주체적 존재로 인정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There are still a handful of elderly people in advertising. Especially women and foreigner elderly were few in the minority. It is a problem that we should discuss in the era of gender equality and the multicultural era.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elderly appeared mainly in elderly targeted advertisements. This demonstrates the existence of a boundary between the elderly and the non-elderly. This is also related to the rarity of elderly appearances in magazine advertisements. When we consider that more than half of magazine advertisements are fashion, sports, and cosmetics ads, we can see that elderly people are being neglected in this beauty area. We were able to identify boundaries not only in the target and medium, but also in the product category. Half of advertisements for the elderly appeared in government/group advertisements. Although there is a change in the perception that elderly people appear in advertisements for elderly products, the elderly are still perceived as objects of policy by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However, the elderly were playing a leading role in advertising, not the background any more. The image was also very positive. Most were happy, professional, relaxed, and lively. The old man is not the so-called ‘back room old man’.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elderly people appear with other age groups, and there are many ways to match them. However, the fact that they can not be seen with teenagers and the fact that foreign elderly people do not fit is still revealing the gap between generations and nationalities. The elderly were no longer fixed at home or at work. Now, the elderly man and woman from the ‘back room’, showed me the activity of being proud and enjoying. However, the elderly person showed only his speech without words. There was no case of more than ten words even if we spoke. It shows the passive aspect that indirectly conveys rather than the positive aspect of opening his claim.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fact that most of the sentence types used by the elderly are statements, and there are very few statements or statements. The contents of the words were problem solving, ethnicity/patriot. The frame for understanding the elderly is rational and hierarchical. There are more than half of the titles that refer to the elderly. The lack of a title indicates that an elderly person is not yet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entity. However, in the case of a title, the name of a senior citizen is more likely to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entity than a general noun indicating an older person or family relationship.
[특별호 : 2017 OOH광고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철도역사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인식과 철도광고 태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2017.09.19
광고일반 | 한국OOH광고학회 (한국OOH광고학회)
철도광고에 있어서의 큰 변화는 2004년 4월 최초의 고속철도인 KTX의 개통으로 볼 수 있는데, 그 덕분에 전국이 2시간대로 연결되면서 철도 이용객을 급격히 증가시키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고속철도가 정차하는 주요 철도역을 중심으로 유동인구가 늘면서 역사 내부에 다양한 상업시설이 들어서게 되었고 상업 공간으로서의 철도역사의 중요성도 증대되었다. 이제 철도역사는 단순히 철도서비스를 위한 여객공간을 넘어 다양한 의미를 지닌 공간으로 그 역할을 확장하고 있으며, 특히 지역의 랜드마크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철도를 이용하는 전 국민을 위한 공공 공간이라는 상징성을 지닌 공간으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철도광고가 집행되는 철도역사는 일반 상업시설의 내부공간보다 공적인 가치가 지배되는 공공 공간으로 여겨진다. 공간의 성격은 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에 기인하여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역사내부 공간은 철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소비자들을 위한 공간이므로 철도서비스가 지닌 공적인 가치가 그 공간을 공공 공간으로 인식하는지와 관련되어 있으며 공간이 가진 이미지에 반영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렇다면 철도역사에서 집행되는 광고는 공공 공간으로 인식 될 가능성이 높은 철도역사와 그 공간이 지닌 여러 가지 특성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역사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공간이 지닌 본질적인 특징인 공공성의 차원, 그리고 상업시설과 광고에 대한 인식, 광고인식과 같은 철도역사라는 공간과 관련한 다양한 원인변수들이 철도광고 매체태도와 철도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탐색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소비자특성과 관련한 변수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철도역사를 공공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접근성, 개방성, 연계성의 측면에서 남성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역사를 공공 공간으로 인식하는 소비자는 광고와 상업시설이 설치되는데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철도역사의 공공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소비자는 광고와 상업시설이 설치되는데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역사에 대한 공공 공간 인식은 철도광고 매체태도와 철도광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공성 인식은 철도광고 매체태도와 철도광고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인식 또한 철도광고 매체태도와 철도광고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철도광고 및 상업시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철도광고 태도에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철도광고 매체태도는 철도광고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철도역사의 공간적인 특성인 공공성에 대한 접근을 통하여 철도광고가 보다 체계적으로 집행되고 발전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big change in train advertisements can be seen as the opening of KTX, the first high-speed railway in April 2004, which led to a sudden increase in the number of railway passengers as the whole country was connected to 2 hours. With the increase of the floating population in the main railway stations, various commercial facilities have entered the sta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railway station as a commercial space has also increased. Now, the railway station is expanding its role as a space with various functions beyond the passenger space for the railway service. In particular, the railway station serves as a symbol for a public space for all people using the railway as well as the role of a landmark. The railway station where the railroad advertisement is done is often considered to be a public space whose public value is dominant over the interior space of general commercial facilities. The character of the space can be determined by the activities performed in the space.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public value of the railway service is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the space as a public space and that it is reflected in the image of the space since the are inside the station is a space for consumers to use the railway service. In this case, the advertising carried out at the railway station is likely to be influenced by the railway station, which is likely to be recognized as a public space, a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However, discussions about this have not been done until now. This study has attempted to research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the space of the railway station such as the recognition of consumers about the railway station, the dimension of publicity, the perception of commercial facilities and advertising and their effect on the attitude of railroad advertis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variables related to consumer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women were more aware of railroad stations as public spaces than men and that they were more positive than men in terms of accessibility, openness, and connectivity. Consumers who perceive the railroad station as a public space have a negative perception that advertising and commercial facilities are installed. However, consumers who evaluate the publicity of the railroad station positively have a positive perception that commercial and commercial facilities are installed. Although public awareness of railway stations does not appear to have an effect on railway advertising attitudes, public awar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railway advertisement attitudes. Advertising recognition also positively affects railway advertising attitude. The negative perceptions of railroad advertising and commercial facilities negatively affect railway advertising attitudes. And the attitude of the railroad advertisement media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the railroad advertise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railway advertising should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and developed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to publicness, which is a spatial characteristic of railway stations.
인터넷 하이퍼링크를 이용한 국내 방송사 홈페이지 네트워크 구조 분석- 방송사 홈페이지의 하이퍼링크된 웹사이트 유형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2017.09.19
광고일반 | 한국OOH광고학회 (한국OOH광고학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상파 3사(KBS, MBC, SBS)와 종합편성채널 4사(JTBC, TV조선, 채널A, MBN) 홈페이지에 하이퍼링크된 웹사이트들의 유형을 파악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각 방송사별 하이퍼링크된 웹사이트 유형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분류된 웹사이트의 유형을 반영하여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 방송사, 하이퍼링크된 웹페이지 유형 간의 관계를 다차원 공간에서 시각화하여 방송사별 네트워크 특성의 차이를 직관적으로 살펴보았다. 종단 조사에 의해 수집된 하이퍼링크 노드 데이터는 제1시점 968개, 제2시점 3,107개였다.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 방송사 홈페이지에 하이퍼링크된 웹사이트 유형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제1시점에서 지상파의 경우 ‘포털 및 검색엔진’, ‘뉴스 및 정보’, ‘개인’ 유형이, 종합편성채널의 경우 ‘비즈니스’, ‘엔터테인먼트’ 유형이 많이 나타나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제2시점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대응일치분석결과에서도 웹사이트 유형 중 ‘뉴스 및 정보’는 제1시점과 제2시점 모두 지상파 방송사와 밀접한 거리를 나타낸 반면, ‘엔터테인먼트’는 제1시점과 제2시점 모두 종합편성채널 방송사와 밀접한 거리를 나타냈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scribe the hyperlink structure of Korean broadcasters by using Webometrics approach. Specifically, the hyperlink structure of three terrestrial broadcasters (KBS, MBC, SBS) and four comprehensive channel broadcasters (JTBC, TV Chosun, Channel A, MBN)’ homepage was exam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Webometrics and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s of Web sites hyperlinked to terrestrial and comprehensive channel broadcasters as well as clarified the difference of the feature of Web site between both broadcasters. 968 of hyperlink node data were collected at the first time and 3,107 of hyperlink node data were collected at the second time, respectively. As a result of hyperlink network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s of Website hyperlinked to terrestrial and comprehensive channel broadcasters. In the case of terrestrial broadcasters, three types of Website, ‘Portal/Search engine’, ‘News/Information’ and ‘Individual’, were most commonly found in first and second time. Contrastively, two types of Website, ‘Business’ and ‘Entertainment’, were most commonly found in the case of comprehensive channel broadcasters in first and second time. It was also obtained in the correspondence analysis.
중국 광고학 연구의 탐색적 고찰- 광고연구(?告?究)에 게재된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IMC)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 2017.09.19
광고일반 | 한국OOH광고학회 (한국OOH광고학회)
본 연구는 중국 광고학계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중국 광고학계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광고연구(?告?究)의 2005년 10월 창간호부터 2016년 6월호까지 게재된 논문 958편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도별 발표 논문 숫자, 연구자, 연구주제, 연구방법 및 참고문헌 등의 분석 유목을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광고연구(?告?究)는 2006년 이후 발행된 논문의 편수는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1년부터는 논문 게재 편수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광고연구(?告?究)에 논문을 게재한 연구자들은 학계가 월등히 많았으며, 단독연구의 비중이 공동 저자를 통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광고연구(?告?究)에 게재된 논문의 주요 연구 주제는 광고 산업, 광고와 소비자, 광고 크리에이티브(광고 메시지), 광고 매체, 광고와 마케팅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방법에서는 질적 연구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나, 양적 연구방법의 채택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광고연구(?告?究)에 게재된 논문의 90% 이상이 참고문헌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36%는 중국 논문 이외의 미국, 한국, 일본 등의 국외 참고문헌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계에서는 최초로 중국의 광고학 연구의 대표 학술지인 광고연구(?告?究)에서 지난 12년 동안 게재된 논문들을 분석유목에 따라 내용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중국 광고학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중국광고시장의 이해도를 높이는 측면에서 연구의 기여도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the Chinese Journal of Advertising Study (?告?究), one of the leading academic journals in the Chinese field of advertising, to figure out the state and trend of advertising research in China. For this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958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Chinese Journal of Advertising Study from 2005 through 2016. In this proces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a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in a year, author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ferences. The findings showed that a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was increased until 2011 but decreased since then. Second, most articles were published by authors from the academic fields, and a number of single-authored articles was higher than that of co-authored articles. Third, the most popular research subject was ‘advertising industry,’ followed by ‘advertising and consumer,’ ‘advertising creative,’ ‘advertising media,’ and ‘advertising and marketing.’ Fourth, in terms of research method, more articles conducted qualitative studies than quantitative studies, but the number of quantitative studies has been increasing. Finally, more than 90% of published articles used references, and 36% of the articles adopted references from American, Korean, and Japanese advertising journals.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in Korea to analyze one of the Chinese leading academic advertising journa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find out the trends of Chinese advertising research and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advertising industry.
콘텐츠의 크리에이티브 요소와 지각된 콘텐츠 속성 따른 비교효과 연구- 유튜브 뷰티 콘텐츠 분석을 중심으로 | 2017.09.19
광고일반 | 한국OOH광고학회 (한국OOH광고학회)
본 연구는 새로운 콘텐츠 생산 그룹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와와 그들이 생산하고 있는 콘텐츠의 유형과 그에 따른 광고효과에 주목하였으며, 콘텐츠의 영상 크리에이티브 요소, 소비자 반응 요소, 지각된 콘텐츠 속성이 실제 콘텐츠의 고유 속성에 따라 수용자들의 인식과 태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영상 콘텐츠의 크리에이티브 요소, 소비자 반응 요소, 지각된 콘텐츠 요소, 제품태도, 콘텐츠태도에 따른 차이를 실제로도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영상 간에 크리에이티브 요소 중 ‘제품정보’ 요소, 소비자 선호 반응 요소, 지각된 콘텐츠 요소, 제품태도, 콘텐츠태도에서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통해 같은 제품이 노출되는 영상의 경우에도 다르게 지각한 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크리에이티브 요인과 소비자 선호 반응, 소비자의 지각된 콘텐츠 속성, 제품과 콘텐츠 태도가 콘텐츠 유형에 따라 그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며, 새로운 콘텐츠인 크리에이티브 요소, 소비자 선호 반응 그리고 소비자의 지각된 콘텐츠 속성과 제품과 콘텐츠 태도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새로운 광고유형에 대한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reative effect of the creative content creator and the content that they produce. The research problem to be tried is the image creative element, consumer preference response element, perceived content attribut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images that are judged to have different intrinsic properties of the actual cont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 of all research measur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imaging types. However, in the case of visual creative elements, image expression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ndicates that consumers actually perceive the differences in the creative factors, consumer response factors, perceived content factors, product attitudes, and content attitudes that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In particular, it is presumed that the images of the same product are perceived differently b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duct information’ element, the consumer preference response element, the perceived content element, the product attitude, and the content attitude And that these factors can be important variables. This study suggests that creative factors, consumer preference reaction, perceived content attributes of consumers, product and content attitud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content types, and new contents such as creative factors, consumer preference responses, and consumer perceived content attributes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new ad types that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and content attitudes.
미세먼지 어플리케이션 이용 효과 및 수용 요인에 대한 연구 | 2017.09.19
광고일반 | 한국PR학회 (한국PR학회)
이 연구는 미세먼지 앱의 실질적인 효과를 검증하고, 앱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있다. 먼저, 미세먼지 앱의 이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대한 2주간의 실험을진행한 결과, 앱을 사용한 집단은 앱을 사용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임파워먼트, 미세먼지 예방 행동 의도, 미세먼지 관련 정보 추구 의도가 더 높게 상승하였다. 다음으로, 확장된 기술 수용 모델과 건강 신념 모델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앱 사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인지된 심각성과주관적 규범이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지된 유용성은 인지된 심각성과 주관적 규범의 매개 변인으로서 앱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향후 미세먼지 앱을 활용한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 방안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pp use an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a particulate matter app. Firs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app usage. The study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who used the app made greater efforts to seek information about particulate matter, had stronger prevention intentions, and showed higher level of empowerment than those who did not use the app. Next, we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the app,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 Health Belief Model. As a result, the perceived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pp acceptance. Also, the perceived severity and subjective norm had significant impacts on improving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isk communication strategy using the particulate matter app.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