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뱃갑 경고그림 효과에 대한 정서 및 인지의 역할 :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비교
광고학연구 | 한국광고학회 | 24 pages| 2016.10.19| 파일형태 :
조회 5524 다운로드 5
자료요약
본 연구는 담뱃갑 경고그림의 효과가 흡연자와 비흡연자에 따라 서로 다른 정서적, 인지적 기제(mechanism)를 따르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대상 으로 경고문구만 있는 담뱃갑 이미지와 경고그림이 포함된 담뱃갑 이미지 중 하나를 무작위 노 출시킨 후 공포와 혐오, 그리고 관심과 메시지에 대한 신뢰, 위험 인식 등 매개변수로 예상한 정 서적, 인지적 요인들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흡연자의 금연 의도와 비흡연자의 흡연 기피의도를 측정하였다. 매개경로 분석 결과, 흡연자의 경우 경고그림에 대해 공포를 느낄 때만 경고그림 효과가 나타나는 반면, 비흡연자는 공포 정서를 느꼈는지와 무관하게 경고그림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흡연자가 공포를 느꼈더라도 메시지에 대한 신뢰 등의 인지적 요인이 수반되지 않으면 경고그림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공포 대신 혐오감을 포함한 매개분석의 결과, 혐오감 을 느낀 후에 관심과 신뢰 등의 인지적 요인이 수반될 경우 흡연자의 금연의도를 향상시킨 반면, 관심이 수반되지 않은 경우에는 오히려 흡연자의 금연의도를 저하시키는 부메랑 효과가 나타났 다. 비흡연자에게서는 혐오감은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흡연자의 경우 경고그림 효과에 정서적 반응이 전제되어야 하지만, 비흡연자의 경우 정서적 반응 없이도 흡연예방 효과 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담뱃갑 경고그림의 효과
2) 담뱃갑 경고그림에 대한 정서적, 인지적 반응
3. 가설 및 연구문제
1) 경고그림에 대한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정서적, 인지적 반응 차이: 공포를 중심으로
2) 경고그림에 대한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정서적, 인지적 반응 차이: 혐오를 중심으로
4.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절차
3) 측정 도구
5. 연구 결과
1) 경고그림이 공포와 혐오에 미치는 영향
2) 경고그림과 정서가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금연 관련 의도에 미치는 영향
3) 공포의 매개효과
4) 혐오의 매개효과
6. 종합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담뱃갑 경고그림 공포소구 혐오 금연의도 흡연기피 의도 Graphic Warning Label Fear Appeal Disgust Vividness Effect Affect as Spotlight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