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내 메시지의 정보원 유형과 희소성 삽입 유무에 따른 효과 연구
광고학연구 | 한국광고학회 | 22 pages| 2016.04.07| 파일형태 :
조회 1093 다운로드 3
자료요약
본 연구는 최근 온라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창구로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소셜 네트 워크 서비스인 ‘페이스북’을 통해 나타나는 메시지의 효과가 정보원의 유형(기업 vs 친구) 및 희소성 삽입 유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정보원 유형에 따라 메시지 수신자들의 지각된 설득 의도는 차이를 보였고, 이에 따라 구매 의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공유의도는 정보원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지만 지 각된 설득의도가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희소성 메시지 유무에 따라 메시지 수신자들의 지각된 설득 의도가 달라질 것인가 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희소성 메시지는 소비자들이 휴리스틱 정보 처리를 하게 한다는 선행 연구들의 주장처럼, 희소성 메시지와 비희소성 메시지 간의 지각된 설득 의도는 유의미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구매 의도에 대해서는 희소성 메시지와 비희소성 메시지의 차이가 유 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보원 유형과(기업 vs 친구) 메시지 유형(희소성 vs 비희소성) 간의 상호작용 효 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구매의도에 대해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공유의도 에 대해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보원 유형과 희소성 메시지 삽입 여부가 결합되었을 때 수용자가 지각하는 설득 의도가 증가 혹은 상쇄될 수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기존의 논의를 보다 확장하고, 실무에서 온 라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시 유의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문헌 연구
1) 페이스북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2) 설득지식모델
3. 연구 가설 및 연구 문제
4. 연구 방법
1) 실험 설계 및 피험자 선정
2) 실험 자극물 구성
3) 변인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5. 연구 결과
1) 실험 참가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희소성 메시지 조작 점검
3) 각 집단 별 사전 태도 검증
4) 정보원 유형과 메시지 유형이 설득 지식활성화와 메시지 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페이스북 정보원 정보원 유형 희소성 메시지 설득지식 구매의도 공유의도 Facebook. Scarcity message Persuasion knowledge Message Effect Purchase intention Share intention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광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