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스코 교황 방한과 한국사회의 위기 징후
한국언론학보 |
한국언론학회 |
33 pages|
2016.03.16|
파일형태 :

자료요약
이 연구는 2014년 세월호 사건을 위시해 일어난 일련의 사건 사고와 이에 대처하는 정치적 리더십의 부재에 기인하는 한국사회의 위기의 징후들과 이와 연관된 사회문화적 균열의 한가운데에서, 같은 해 방한을 계기로 일어났던 ‘프란치스코 교황 신드롬’의 기저에서 작동하는 사회적 욕망과 다기한 담론정치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이 한국사회의 정치사회적 위기와 어떻게 접합, 또는 확장되었고, 이것이 대중의 좋은 리더십과 국가에 대한 열망 및 사회적 상상과 어떻게 상승작용을 일으켰는지 분석하기 위해 언론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사회의 정치적 리더십과 소통의 부재에서 대중은 정치 일반에 대한 좌절과 실망감을 표출함과 동시에, 한국사회의 리더십과 대별되는 교황의 모습에서 새로운 사회적 상상과 열망을 투영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이의 연장선상에서 국가의 신자유주의적 정책 기조 및 사회 전반의 기업사회화에 대한 비판적 담론이 형성되었다. 나아가 삼포세대로 대변되는 불안정한 청년세대에 대한 위로와 동기부여가 병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시대적 화두인 공정한 사회에 대한 사회적 상상과 한국사회의 실재 간 큰 간극과 부조화를 토대로 구성원들의 사회 정의, 또는 사회 통합에 대한 갈망이 표출되고 있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한국사회 리더십과 소통의 부재
3. 신자유주의 정책 기조와 기업사회화
4. 사회 정의와 통합에 대한 갈망
5.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2. 한국사회 리더십과 소통의 부재
3. 신자유주의 정책 기조와 기업사회화
4. 사회 정의와 통합에 대한 갈망
5.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프란치스코 교황 신드롬
소통
신자유주의
사회정의
담론분석
Pope Francis Syndrome
communication
neoliberalism
social justice
discourse analysis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