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루언서 마케팅에서 후원 표기 명확성과 선망성이 메시지 효과에 미치는 영향
자료요약
본 연구는 설득지식모델을 적용하여 후원 표기 명확성(암시적/명시적)이 메시지 태도와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선망성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 플루언서의 성별을 달리하여 두 번의 실험을 하였다. 여성 인플루언서(연구 1)의 브랜드 메시지 에 대해서는 암시적 후원 표기보다 명시적 후원 표기가 긍정적 반응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명시 적 후원 표기의 우월성은 인플루언서에 대한 선망성이 낮을수록 두드러졌다. 그러나 인플루언서 에 대한 선망성이 높아질수록 후원 표기 명확성 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남성 인플루언 서(연구 2)의 브랜드 메시지에 대해서도 암시적 후원 표기보다 명시적 후원 표기가 긍정적 반응 을 유도했다. 명시적 후원 표기의 우월성은 선망성 수준과 관계없이 나타났지만, 선망성이 낮을 수록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는 인플루언서를 브랜드 정보원으로 이용하려는 실무자에게 다양 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후원 표기 명확성과 설득지식모델
2) 조절 변수로서의 선망성
3) 조작성 인식의 매개 역할
4) 인플루언서의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
3.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및 대상
2) 실험 자극물
3) 실험 절차
4) 변수 측정
4. 연구 결과
1) 조작 점검
2) 연구 가설 검증
5. 결론
1) 연구 결과 요약
2)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3)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제언
2. 이론적 배경
1) 후원 표기 명확성과 설득지식모델
2) 조절 변수로서의 선망성
3) 조작성 인식의 매개 역할
4) 인플루언서의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
3.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및 대상
2) 실험 자극물
3) 실험 절차
4) 변수 측정
4. 연구 결과
1) 조작 점검
2) 연구 가설 검증
5. 결론
1) 연구 결과 요약
2)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3)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