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메조미디어] 2024 업종 분석 리포트 02. 화장품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스토리텔링형 기부 메시지의 설득 효과 : 수혜자의 명명(命名)과 화자 의 시점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자료요약
스토리텔링 메시지 형식을 구현하고 있는 온라인 기부 캠페인의 수가 늘어나는 추세지만 기부 캠페인 속 스토리텔링의 세부적인 구성 요소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 연구는 기부 캠페인의 스토리텔링 효과를 진단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써 등장 인물의 이름과 화자의 시점이 어떻게 기부 참여자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기부 참여를 유도하는지 2(수혜자의 명명: 이름有 vs 수혜자의 이름無) × 2(화자의 시점: 1인칭 vs 3인칭)의 집단 간 요인 설계를 이용하여 온라인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N = 357). 연구결과, 수혜자가 구체적인 이름으로 소개되었을 때 수혜자에 대한 공감적 이해, 기부 캠페인에 대한 태도, 그리고 기부 참 여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1인칭 화자 시점의 메시지는 3인칭 화자 시점의 메시지에 비해 수혜 자에 대한 공감적 이해도는 높였지만 기부 캠페인에 대한 태도나 기부 참여 의도는 차이가 없었 다. 수혜자의 명명 여부와 화자의 시점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하게 확인되었다. 수혜자가 구체 적인 이름으로 소개 된 경우에는 1인칭 화자 시점의 메시지가, 수혜자가 이름이 없이 소개된 경 우에는 3인칭 화자 시점의 메시지가 설득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스토리텔링의 구성 요소별 효과적인 기부 메시지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기부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유효한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스토리텔링형 기부 캠페인
2) 등장인물의 명명(命名)
3) 화자의 시점(視點)
3. 연구방법
1) 사전조사
2) 본조사
4. 연구 결과
1) 수혜자 명명 여부와 기부 캠페인의 설득 효과
2) 화자의 시점과 기부 캠페인의 설득 효과
3) 수혜자 명명 여부와 화자 시점의 상호작용 효과
5.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스토리텔링형 기부 캠페인
2) 등장인물의 명명(命名)
3) 화자의 시점(視點)
3. 연구방법
1) 사전조사
2) 본조사
4. 연구 결과
1) 수혜자 명명 여부와 기부 캠페인의 설득 효과
2) 화자의 시점과 기부 캠페인의 설득 효과
3) 수혜자 명명 여부와 화자 시점의 상호작용 효과
5.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한국광고학회 #스토리텔링 #기부 캠페인 #등장인물의 명명 #화자의 시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