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플레이디]2024 반려동물 업종 트렌드 리포트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3월 호
- 현대자동차 “기업PR영상홍보” 외 4개 캠페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F1스포츠스폰서링과스포츠마케팅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자의 아바타를 통한 자기표현 동기가 JOMO에 미치는 영향: FOMO, 사용피로, 단절욕구의 직렬다중매개효과와 나르시시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자료요약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자가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하면서 지각하는 부정적인 경험에서 벗어나는 메커니즘을 탐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위해 메타버스 아바타를 통한 자기표현 동기를 독립 변인으로 설정하고 FOMO, 사용피로, 단절욕구를 매개 변인으로 설정하여 JOMO에 미치는 구조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메타버스 이용자의 아바타를 통한 자기표현 동기가 FOMO와 JOMO에 미치는 영향 사이에서 나르시시즘의 조절효과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아바타를 매개로 가상세계에서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 이용자 10대-30대 4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메타버스 이용자의 아바타를 통한 자기표현 동기가 JOMO에 미치는 영향은 FOMO, 사용피로, 단절욕구에 의해 완전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타버스 이용자의 아바타를 통한 자기표현 동기는 FOMO, 사용피로, 단절욕구를 직렬매개로 JOMO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타버스 아바타 자기표현동기가 FOMO와 JOMO에 미치는 영향은 나르시시즘에 의하여 강화되었으며 자기표현 동기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FOMO와 JOMO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이용자의 아바타를 통한 자기표현동기가 FOMO, 사용피로, 단절욕구를 거쳐서 JOMO에 이르게 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또한 신생 연구 분야인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자 경험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는 변인의 관계와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메타버스#나르시시즘#사용피로#단절욕구#Metaverse#FOMO#JOMO#Narcissism#Use fatigue#Desire to dis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