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금융투자사업자의 지배구조에 따른 영업행태에 대한 사례연구
Korea Business Review | 한국경영학회 | 58 pages| 2025.06.11| 파일형태 :
조회 56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사례연구는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이하 ‘종투사’) 제도 도입과 그 이후 효과를 분석하고, 종투사로 지정된 9개 증권사의 영업행태를 지배구조에 따라 비교하였다. 종투사 제도는 2013년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국내 증권사의 대형화를 유도하고, 경쟁력 있는 글로벌 투자은행을 육성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도입 초기에는 자본시장과 기업 간 연계를 강화하여 혁신 기업에 대한 자본 배분을 통한 시장구조의 근본적인 변환을 기대하였다. 그러나 제도 도입 후 10여 년이 지난 현재, 종투사 자금이 기대된 모험자본 공급보다는 부동산 금융과 같은 수익성이 높은 사업에 편중되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사례연구는 종투사 지정의 핵심 요건인 자기자본 3조원을 충족한 시점 전후의 자기자본 변화, 수익구조 변화 및 자산건전성 변화를 최상위 지배구조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정 오너가 통제하는 사적 지배구조를 가진 종투사들은 적극적인 자본확충과 수익 다변화가 이루어졌으나, 분산 지배구조의 종투사들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자본확충을 하였으며, 종투사 지정 이후에도 여전히 전통적인 수탁 수수료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또한, 분산 지배구조 종투사들은 자기자본을 달성하기 위해 자산건전성이 낮은 대출채권을 증가시키고, 대손충당금을 과소 적립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확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지배구조가 자본확충 전략, 수익구조 변화 및 자산건전성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본 사례연구는 종투사 제도가 자본시장의 질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지배구조에 따른 차별적 접근과 내부통제 강화를 통한 리스크 관리 체계의 정비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또한, 향후 종투사 제도의 개선이 기업 성장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사례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종투사 제도 도입 경과 및 효과
Ⅲ. 종투사 지정 전후 재무정보 시계열 분석
Ⅳ.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종합금융투자사업자#지배구조#자본확충#수익구조#자산건전성#Comprehensive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ies#Corporate Governance#Capital Expansion#Profit Structure#Asset Soundeness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