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3년 11월] 2024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Market Trend] 타깃 보고서_30-40대 직장인 남성
- [2024년 12월] 한 장이면 고민 끝! 2025 마케팅 이슈 캘린더
- [2021년 9월] 명품 브랜드 캠페인 성공 사례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11월] 금융 업종 캠페인 성공 사례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리서치애드]2024년 11월 인터넷 노출형 광고 결산 보고
광고 메시지 제작 방식과 소비자의 설득 지식이 소셜 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자료요약
Guided by 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 (PKM),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message executional style (informational vs. narrative) of native ads, in conjunction with consumer’s dispositional persuasion knowledge (high vs. low), influences consumer responses towards native advertising on social media. Based on the experimental study results, it was found that consumers with high persuasion knowledge (PK) perceived informational message as less manipulative than narrative message. Furthermore, these consumers demonstrated a higher intention to share the informational messages as well. However, the study did not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al and narrative messages among consumers with low PK in terms of perceptions of manipulativeness and intention to share. Additionally, the perceived manipulativeness of the advertisements act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ssage execution style and intention to share for consumers with high PK.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소셜 미디어 상에서 네이티브 광고가 활발하게 집행되고 있으나, 네이티브 광고 고유의 특성으로인 해 기만성에 대한 우려 또한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네이티브 광고의 본질을 이해하는 소비자 개인적 특성으로서의 설득지식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네이티브 광고 연구에서 개인적 특성 으로서의 설득지식의 역할이 간과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설득지식모델을 활용하여 소셜 미디어 네이 티브 광고 메시지 제작 유형(정보형, 네러티브형)이 소비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 으로서의 설득 지식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연구 결과, 설득지식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 는 네러티브형 광고보다 정보형 광고를 덜 조작적으로 인식했고, 그에 따라 광고를 공유하고자 하는 의도 도 높았다. 반면, 설득 지식이 낮은 소비자의 경우, 광고 메시지 유형 간 반응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연구 결과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조작성 인식이 광고 메시지 제작 유형과 설득 지식 간 상호작 용 효과를 설명하는 기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 마지막 장에 네이티브 광고와 관련된 이론적, 실무적 함의 에 대해 제시하였다.
소셜 미디어 상에서 네이티브 광고가 활발하게 집행되고 있으나, 네이티브 광고 고유의 특성으로인 해 기만성에 대한 우려 또한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네이티브 광고의 본질을 이해하는 소비자 개인적 특성으로서의 설득지식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네이티브 광고 연구에서 개인적 특성 으로서의 설득지식의 역할이 간과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설득지식모델을 활용하여 소셜 미디어 네이 티브 광고 메시지 제작 유형(정보형, 네러티브형)이 소비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 으로서의 설득 지식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연구 결과, 설득지식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 는 네러티브형 광고보다 정보형 광고를 덜 조작적으로 인식했고, 그에 따라 광고를 공유하고자 하는 의도 도 높았다. 반면, 설득 지식이 낮은 소비자의 경우, 광고 메시지 유형 간 반응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연구 결과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조작성 인식이 광고 메시지 제작 유형과 설득 지식 간 상호작 용 효과를 설명하는 기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 마지막 장에 네이티브 광고와 관련된 이론적, 실무적 함의 에 대해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1) Persuasion knowledge model (PKM)
2) Two-way interaction of message execution style and persuasion knowledge
3) Mediating role of perceived manipulativeness
3. Method
1) Participants and procedures
2) Stimulus development
3) Measures
4. Results
1) Assumption testing
2) Manipulation check
3) Hypothesis testing
5. Discussion
1) Summary of findings and implications
2)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참고문헌
Appendix
요약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1) Persuasion knowledge model (PKM)
2) Two-way interaction of message execution style and persuasion knowledge
3) Mediating role of perceived manipulativeness
3. Method
1) Participants and procedures
2) Stimulus development
3) Measures
4. Results
1) Assumption testing
2) Manipulation check
3) Hypothesis testing
5. Discussion
1) Summary of findings and implications
2)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참고문헌
Appendix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