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플레이디]2024 반려동물 업종 트렌드 리포트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3월 호
- 현대자동차 “기업PR영상홍보” 외 4개 캠페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F1스포츠스폰서링과스포츠마케팅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20대 여대생 다이어트 경험의 내러티브 분석 : SNS와 인플루언서가 감량 경험에 미치는 영향 및 다이어트 동기의 역할
자료요약
본 논문은 다이어트 경험이 있고 SNS에서 신체 관리에 관련된 계정(채널)을 구독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이어트 행위와 SNS, 인플루언서의 존재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외부적 동기(사회적 압력)에 의해 타의로 다이어트를 실시하는 대부분의 참여자에게 다이어트는 욕구의 억제라는 부정적인 경험과 함께 좌절감, 불안 등을 경험하게 한다. 이들은 탈억제의 환상을 보여주는 SNS 인플루언서의 삶과 현실의 욕망 충족을 동경한다. 욕구를 충족하고 인내를 회피하려는 욕구는 SNS를 통해 노출된 상품 구매, 특히 다이어트 약품 구매로 이어지기 쉬웠다. 이때 인플루언서는 직접적인 구매 중개 역할을 하기보다는 약품에 대한 불안감이나 경계심을 낮추는 시각적 검증자료로 활용되었다. 참여자들은 약품에 의존하는 다이어트를 시도한다는 부분을 불편해하고 타인과의 공유도 부담스러워했는데, 이런 불편함은 인지부조화와 관련되어 효능 위주의 후기 검색을 통한 정보의 왜곡과 축소를 일으키고 있었다. 부정적 가능성은 회피하며, 긍정적 가능성은 과장하고, 부작용 등의 문제를 개인화하게 만든다. 참여자들은 후기를 통해 과학적 효과에 대한 검증이나 부작용에 대한 검증을 하는 대신, 효과에 관련된 후기만 선택적으로 검증하고 부정적 경험은 축소하는 왜곡된 결론에 도달하고 있었다. 한편, 내부적 동기(자신의 건강 개선)을 위해 다이어트를 하는 소수 참여자들의 경우 SNS를 통해 운동과 식이 정보를 학습하고 이를 실천하며 만족스러움을 표현했다. 이들의 경우 인지부조화를 일으키는 소비가 거의 드러나지 않았으며, 인플루언서와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구매를 이어 나간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목차
1. 시작하며
2. 문헌 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2. 문헌 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Diet #SNS #Influencers #Youtube #Narrative Analysis #인플루언서 #다이어트 #유튜브 #건강기능식품 #인스타그램 #내러티브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