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CJ?메조미디어] 2025 타겟?리포트_50대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 [CJ?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5월 호
- 신규 매체 및 신규 광고 상품 ? 캐치테이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자료요약
이 연구에서는 북한의 광고환경과 광고에 관련된 제반 개념을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먼저, 북한의 광고환경은 북한의 정치 주기에 맞춰 2000년 이전, 2000년 이후부터 2010 년까지, 2010년 이후라는 세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북한에서의 광고에 관련된 제반 개념은 11가지 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광고의 목적과 광고의 정의, 광고에 대한 비판론과 옹호론, 자본주의 국가의 광고 유형 분류, 마케팅 4P와 제품수명주기에 따른 광고 전략, 수출과 무역 활동에 필요한 광고의 기능과 전제 조건, 광고법 제정의 필요성, 상품광고의 내용과 특성, 투자 유치에서 미디어의 효과적 이용, 광고 메시지 작성과 주목성 제고 방법, 디자인 원리와 카 피 작성법, 선전화 창작 방법이 11가지 주제다. 광고에 관련된 제반 개념에 있어서 남북한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규명한 이 연구 결과는 향후 남북한 경제 교류 및 광고 교류에 필 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advertising environments and advertising related concepts in North Korea were analyzed. First, the advertising environments of North Kore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cycle of North Korea, before 2000, 2000 to 2010, and after 2010. Next, the advertising related concepts in North Korea were analyzed by 11 themes as followings; The purpose of advertising and definition of advertising, criticism and advocacy toward advertising, classification of advertisement type of capitalist countries, marketing 4P and advertising strategy by PLC (Product Life Cycle), advertising function and precondition necessary for export and trade activities, necessity of enactment of advertising law,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product advertising, effective use of media in attracting investment, method of creating advertising message and attention gathering, design principle and method of copywriting, and method of creating propaganda pain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revealed tha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advertising related concepts, will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both economic and advertising exchanges between the South-North Koreas.
In this study, the advertising environments and advertising related concepts in North Korea were analyzed. First, the advertising environments of North Kore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cycle of North Korea, before 2000, 2000 to 2010, and after 2010. Next, the advertising related concepts in North Korea were analyzed by 11 themes as followings; The purpose of advertising and definition of advertising, criticism and advocacy toward advertising, classification of advertisement type of capitalist countries, marketing 4P and advertising strategy by PLC (Product Life Cycle), advertising function and precondition necessary for export and trade activities, necessity of enactment of advertising law,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product advertising, effective use of media in attracting investment, method of creating advertising message and attention gathering, design principle and method of copywriting, and method of creating propaganda pain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revealed tha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advertising related concepts, will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both economic and advertising exchanges between the South-North Koreas.
목차
요약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방법
3. 북한의 광고환경 변화 추이
1) 2000년 이전
2) 2000년 전후부터 2010년 전후까지
3) 2010년 이후
4. 광고에 관련된 제반 개념
1) 광고의 목적과 광고의 정의
2) 광고에 대한 비판론과 옹호론
3) 자본주의 국가의 광고 유형 분류
4) 마케팅 4P와 제품수명주기별 광고 전략
5) 수출 무역 광고의 기능과 조건
6) 광고법 제정의 필요성
7) 상품광고의 내용과 특성
8) 투자 유치에서 미디어의 효과적 이용
9) 광고 메시지 작성과 주목성 제고 방법
10) 디자인 원리와 카피 작성법
11) 선전화 창작 방법
5. 결론
참고자료
참고문헌
Abstract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방법
3. 북한의 광고환경 변화 추이
1) 2000년 이전
2) 2000년 전후부터 2010년 전후까지
3) 2010년 이후
4. 광고에 관련된 제반 개념
1) 광고의 목적과 광고의 정의
2) 광고에 대한 비판론과 옹호론
3) 자본주의 국가의 광고 유형 분류
4) 마케팅 4P와 제품수명주기별 광고 전략
5) 수출 무역 광고의 기능과 조건
6) 광고법 제정의 필요성
7) 상품광고의 내용과 특성
8) 투자 유치에서 미디어의 효과적 이용
9) 광고 메시지 작성과 주목성 제고 방법
10) 디자인 원리와 카피 작성법
11) 선전화 창작 방법
5. 결론
참고자료
참고문헌
Abstract
#한국광고학회
#광고
#조선 광고회사
#남북한 광고 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