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CJ?메조미디어] 2025 타겟?리포트_50대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 [CJ?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5월 호
- 신규 매체 및 신규 광고 상품 ? 캐치테이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자료요약
이 연구는 금연 캠페인에서 공포 소구의 수준에 따라 금연 행동 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특히 공포 소구로 유발된 흡연에 대한 감정의 역할을 확인하고, 그것이 행동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서 효능감의 조절 효과, 흡연에 대한 낙인 인식의 매개 효과, 효능감과 낙인 인식의 매개된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33명의 성인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그룹에게는 높은 수준의 공포 소구를 사용한 금연 캠페인 영상을, 다른 그룹에게는 낮은 수준의 공포 소구를 사용한 흡연 관련 뉴스 영상을 시청하도록 한 뒤,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흡연자의 금연 의도에 공포 소구는 직접 효과를 미치지 않는 반면, 흡연에 대한 부정적 감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덧붙여 흡연에 대한 감정은 공포 소구가 흡연자의 금연 의도에 미치는 과정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를 바탕으로 공포 소구는 흡연에 대한 감정을 유발함으로써 금연 행동 의도에 영향을 주며, 흡연에 대한 감정이 금연 행동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독립 변수라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감정과 금연 행동 의도와의 관계는 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며, 흡연에 대한 낙인 인식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는 감정(독립 변수)과 금연 행동 의도(종속 변수)의 관계가 흡연에 대한 낙인 인식에 의해 매개되는 매개된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금연 캠페인에서 공포 소구를 사용함에 있어 흡연에 대해 유의한 수준의 부정적 감정을 유발할 수 있어야 캠페인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으며, 수용자의 효능감과 흡연에 대한 낙인 인식을 고려해야 한다는 이론적이며 실무적인 함의를 보여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s of key variables in health communications such as fear appeals, emotion, efficacy, and stigma in anti-smoking campaigns and aims to investigate specific influencing pathways of how these key variables have impacts on the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33 adult smokers, and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with different fear appeal treatments. Fear appeals were treated with the degree of fear appeared in the video. The results showed that fear appeals had no direct effects on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on the other hand, accrued emotion did. This verifies that the effects of fear appeals on smoking cessation intention were completely mediated by the degree of accrued emotion. Also, efficacy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emotion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Lastly, stigma was a significant mediator between emotion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The perceptual degree of stigma positively affects smoking cessation intention, which emphasizes the active role of stigma in the anti-smoking campaigns. Overall, the study showed that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should be equally considered when anti-smoking messages including fear appeals are applied in the campaig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oretical ramificat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s were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s of key variables in health communications such as fear appeals, emotion, efficacy, and stigma in anti-smoking campaigns and aims to investigate specific influencing pathways of how these key variables have impacts on the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33 adult smokers, and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with different fear appeal treatments. Fear appeals were treated with the degree of fear appeared in the video. The results showed that fear appeals had no direct effects on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on the other hand, accrued emotion did. This verifies that the effects of fear appeals on smoking cessation intention were completely mediated by the degree of accrued emotion. Also, efficacy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emotion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Lastly, stigma was a significant mediator between emotion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The perceptual degree of stigma positively affects smoking cessation intention, which emphasizes the active role of stigma in the anti-smoking campaigns. Overall, the study showed that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should be equally considered when anti-smoking messages including fear appeals are applied in the campaig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oretical ramificat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s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문헌연구
3. 연구문제 설정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논의
2. 문헌연구
3. 연구문제 설정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논의
공포 소구
감정
효능감
낙인 인식
행동 의도
금연 캠페인
Fear Appeal
Emotion
Self-efficacy
Stigma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ti-Smoking Campa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