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된 자기 통제력 및 인터넷게임중독의 다차원 요인들 간 인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 한국언론학회 | 34 pages| 2017.03.15| 파일형태 :
조회 448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자기 통제력 및 인터넷게임중독을 측정하는 기존의 대부분 척도들은 이 두 변수들을 단일차원보다 다차원 요인구조를 갖는 구성으로 이해하고 있다. 또한 이 변수들은 단일차원보다 다차원 요인들로 측정할 때보다 높은 타당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기 통제력과 인터넷게임중독 간의 상관관계 및 인과성을 규명하려는 대부분의 국내 연구들에서는 이 두 변수들의 다차원 요인들을 단일차원 요인으로 축소하여 상관관계 및 인과성을 간명하게 검증하려는 경향이 오히려 짙다. 이런 연구경향은 이론발달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인터넷게임중독 치료 및 예방 프로그램 향상에 필요한 기초정보 제공과 같은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개별 요인들, 그리고 개별 요인들 간의 고유한 관계 및 인과성을 밝혀낼 수 있는 정보의 손실을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인터넷게임중독 치료 및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그라스믹, 티틀, 버식, 그리고 아네클레프(Grasmick, Tittle, Bursik, & Arneklev, 1993)의 낮은 자기 통제력 척도와 이형초와 안창일(2002a)의 인터넷게임중독 진단척도의 차원성을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했다. 다음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들에 근거해, 인터넷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 통제력의 효과를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했다. 온라인 설문조사 데이터는 지원자 표본추출 방식으로 모집한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배틀 아레나(Multiplayer Online Battle Arena: MOBA)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이용자 343명으로부터 수집됐다. 연구결과, 각 변수 모두 다차원 요인으로 처리한 모형이 변수를 단일차원 요인으로 처리한 모형보다 우수한 적합도를 나타났다. 또한 자기 통제력의 일부 요인들만이 인터넷게임중독의 일부 요인들을 유의미하게, 그러나 차별적으로 설명한다는 것을 본 연구는 밝혀냈다.
 
It has been known that a number of previous self-control and Internet game addition scales conceive these variables as multidimensional factors rather than unidimensional factor and each scale has a higher validity in measuring it as multidimensional factors than unidimensional factor. However most research testing relationships and causalities between self-control and Internet game addiction has a strong tendency to reduce multidimensional factors to one factor. This research orien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ory development, has positive aspects, while it may leads to the loss of information revealing relationships and/or causalities within and between individual factors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 of provision of th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to improvement in Internet game addic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ffect of Internet game addic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program,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dimensionality of each Grasmick, Tittle, Bursik and Arneklev(1993)’s low self-control scale and Lee and Ahn(2002a)’s Internet game addiction diagnosis scale with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Next, based on results drawn from factor analyses, this study intended to test the effect of self-control on Internet game addiction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Onlin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43 ‘League of Legend’ multiplayer online battle arena(MOBA) game users recruited with a volunteer sampling. Results showed that the multidimensional factors model had a better goodness of fit than the unidimensional factor one. In addition,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only some of the self-control factors significantly but differentially explained some of the Internet game addiction factors.
목차
1. 문제제기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낮은 자기 통제력 (척도) 인터넷게임중독 (척도) 요인분석 low self-control (scale)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 factor analysis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