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동질화 현상의 이론적 분석 틀 : 기점 기사 개념과 영향력·생산성 지표의 제안
한국언론학보 | 한국언론학회 | 36 pages| 2025.07.08| 파일형태 :
조회 16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 나타나는 뉴스 동질화(news homogenization) 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개념과 지표를 제안하였다. 뉴스 동질화는 여러 언론사의 뉴스가 비슷해지는 현상으로, 본 연구는 이를 뉴스 의제의 동질화(homogenization of news agendas)와 뉴스 내용의 동질화(homogenization of news contents)라는 두 차원으로 정의하였다. 국내 주요 언론사 10곳의 경제 뉴스 3,291건을 수집하고 Doc2Vec 기반 코사인 유사도 분석을 수행하여 개념과 지표를 개발하였다. 먼저 기존의 ‘선행 기사(preceding article)’와 ‘후행 기사(following article)’ 개념을 확장한 ‘기점 기사(original article)’ 개념을 새롭게 도입하였다. 기점 기사는 특정 의제와 정보의 출발점이 되는 기사로, 뉴스 의제의 확산 경로를 단계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개념이다. 이를 통해 어떤 기사가 동질화의 출발점이 되어 다른 기사들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뉴스 동질화 과정에서 각 언론사가 주고받는 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해 ‘영향력(influence)’과 ‘생산성(productivity)’ 지표를 개발하였다. 영향력은 특정 언론사의 기사가 얼마나 많은 기사에 영향을 주었는지, 생산성은 특정 언론사가 영향력 있는 기사를 얼마나 많이 생산했는지를 평가하는 개념이다. 이를 활용해 언론사들의 의제·정보 영향 관계와 생산 능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뉴스 동질화 현상을 구조적·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함으로써,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 매체 간 상호작용과 의제 전파 양상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아울러 뉴스통신사가 뉴스 동질화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탐색적 관찰 결과를 제시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문제 제기
2. 이론적 논의
3. 분석 틀 제안
4.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