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산수화의 변화에 관하여 : 1920년대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 294 pages| 2006.12.01| 파일형태 :
조회 1143 다운로드 0
자료요약
근대 이전 유교적 교양의 기반 위에서 시 ? 서 ? 화 일치(時 ? 書 ? 畵 一致)라는 전통적 회화관의 토대 위에 전개되던 한국의 전통회화는 일제에 의한 식민지 경영의 한 방편으로 `동양화`로 재창출되면서 근대회화로 재현(再現)된다. 이렇게 1920년대에 나타나는 전통회화의 변화는 단순한 회화양식의 변화를 넘어서는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이제 막 서구세계를 모델로 근대화한 일본 제국주의와 전근대적 식민지 한국의 만남의 결과로서 근대산수화는 문화적 변화의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만남이 의미하는 실질적 내용은 전통과 근대, 그리고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의 충돌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식민지 시기는 위의 4가지 요소들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면서 시대정신으로 혼재(混在)하던 시기였다. 이 시기의 근대화 담론은 일제의 문화적 패권주의 안에서 펼쳐짐으로 하여 역사적으로 전(傳承)되던 전통은 단절되고, 민족을 중심으로 하는 근대적 전통이 새롭게 창출된다. 근대산수화에 있어 전통산수의 내용과 형식이 향토경을 중심으로 하면서 근대적 기법으로 변화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미술전람회 근대산수화 근대산수화론 근대적 제도 근대산수화 작품분석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계명대학교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