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응적 모바일 웹 서비스의 응답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 서비스 후 변환 방법
자료요약
모바일 단말기에 무선 인터넷을 효율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하여 고려해야할 사항중의 하나는 단말기의 환경(예: Markup Language, Resolution, Color Depth, Memory size etc.) 정보이다. 그 이유는 접속한 단말기의 환경에 맞게 적응적으로 모바일 컨텐츠를 생성하는데 시간적인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각 단말기 별로 변환 및 생성된 모바일 컨텐츠의 버전 수는 서버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즉 다양한 단말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모바일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서버 측에서는 변환시간에 따른 응답시간과 서버의 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웹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답시간을 분석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선 서비스 후 변환방법을 제안한다. 선 서비스 후 변환방법(Pre-Service and Post-Transcoding)은 모바일 단말기에 최적의 질적 서비스는 제공할 수 없더라도 응답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캐시 내에서 요청 단말기 상에 재생 가능한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서비스 한다. 그리고 추후 질적 서비스 및 좀 더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요청한 컨텐츠와 연관관계를 갖는 컨텐츠를 서비스 후 변환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은 선 서비스에서 캐시 내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써 단말기의 사양을 이용한 Device Profile 기반 선택방법과 요청한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이용한 Content 기반 선택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후 변환에서 변환할 컨텐츠 대상으로써 선 서비스된 단일 컨텐츠 변환, Index 기반의 컨텐츠 변환, 하이퍼링크 관계를 이용한 컨텐츠 변환, 참조된 유선 웹 페이지의 연관성을 이용한 컨텐츠 변환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각 방법들에 대한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모바일 단말기
모바일 웹 서비스
Device-specific Service
Full-Automatic service
웹 캐시(web Cache)
웹 선인출(Web Prefetching)
단말기 프로파일(Device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