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성 이론과 책임성 지각으로 살펴 본 한국과 미국의 반기업 정서 : 기업의 잘못과 개인의 잘못에 대한 공중의 인식 실험 연구
홍보학연구 | 한국PR학회 | 27 pages| 2017.02.16| 파일형태 :
조회 585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강하게 나타난다고 인식되어 온 반기업 정서 정도를 미국과의 비교를 통해검증해 보고자 했다. 그동안의 반기업 정서가 주로 여론 조사와 설문 조사 등 기업에 대한 호감도를 측정하는 위주로 진행된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역사실적 사고, 부당성 인식, 책임성 인식 등 정당성 이론의변인들을 중심으로 반기업 정서를 관찰하고자 했다. 동일한 잘못을 저질렀을 때 사건의 주체가 기업(대기업/ 중소기업)일 때와 개인일 때로 나누어 한국과 미국에서 각각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연구 결과, 부정적 사건이 발생했을 때 공중의 반응은 한국과 미국에서 부분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한국의 공중은 사건의주체가 기업(대기업과 중소기업)일 때, 개인일 때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역사실적 사고를 보였다. 반면, 미국에서는 사건의 주체가 누구인지가 역사실적 사고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한국에서는 부정적 사건의 주체가 기업인지 개인인지에 따라 부당하다고 느끼는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미국 실험 결과에서는 그러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책임성 인식 정도는 한국과 미국에서 모두 사건의 주체에 따른 영향을 받았으며 그 방향성도 같았다. 즉, 한국과 미국 공중은 부정적 사건의 주체가 기업(대기업과 중소기업) 인 경우가 개인인 경우에 비해 실제적으로 책임을 져야 하고 잘못의 원인이 누구에게 있는지와 관계없이 도의적으로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반기업 정서에 관한 국내의기존 논의를 일정 부분 지지함과 동시에 관련 논의가 보다 정교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tent of anti?corporate sentiment between Korea and the U.S. by comparing the public perceptions toward the same wrongdoing committed by corporations and individuals. This research considered counterfactual thinking, perceived unfairness, and perceived accountability as dependent variables that indicate the anti? corporate sentiment. We conducted an experiment in the U.S and Korea,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public’s responses toward the negative event were parti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untry. In Korea, the public showed high degree of counterfactual thinking when the wrongdoer was a corporation than an individual. On the other hand, the U.S. public was unaffected by the subject of negative events. Koreans showed higher perceived unfairness when the subject of the negative case is a corporation than an individual,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 public’s perceptions. Meanwhile, people in both countries perceived if the wrongdoer was a corporation it should take more actual and moral responsibility than if the wrongdoer was an individual. This results not only support existing research, but also suggest that the discussions regarding the anti?corporate sentiment need to be refined.
목차
요약
연구의 목적
문헌 검토
반기업 정서의 개념
정당성 이론과 반기업 정서 연구
반기업 정서와 국가 간 비교
연구문제
연구 방법
실험 조작 및 실험 과정
측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Abstract
반기업 정서 정당성 이론 역사실적 사고 실제적 책임성 도의적 책임성 한국 미국 anti?corporate sentiment fairness theory counterfactual thinking actual responsibility moral responsibility Korea America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PR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