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CJ?메조미디어] 2025 타겟?리포트_50대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 [CJ?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5월 호
- 신규 매체 및 신규 광고 상품 ? 캐치테이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목 차
Ⅰ. 서 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싱글소스 광고매체 가치평가
2) 크로스미디어 매체가치 측정 체계 구축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구성체계
Ⅱ. 매체환경과 광고소비행태 변화
1. 방송통신 융합과 매체환경 변화
1) 디지털기술과 방송통신 융합
2) 매체환경 변화방향
(1) 산업구조 측면
(2) 서비스 측면
(3) 사회적 측면
2. 국내 매체환경 변화
1) 매체와 채널의 증가
2) 시장구조 변화
3. 매체소비행태 변화
1) 단말기 보유현황
2) 매체이용시간 및 접촉방식 변화
4. 미디어환경 변화에 따른 광고패러다임 변화
1) 광고시장 현황
2) 크로스미디어 현상 확대
3)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강화
Ⅲ. 광고매체가치와 크로스미디어 광고
1. 광고매체가치 평가관련 연구
1) 광고효과
2) 광고매체 가치
(1) 양적평가지표
(2) 질적평가 지표
2. 기존의 싱글소스 광고매체효과 연구
1) 싱글소스 광고매체효과 개념
2) 싱글소스 광고매체효과 평가
3.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활용의 등장
1)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 개념
2)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활용 사례
(1) 크로스미디어(Cross Media) 캠페인의 배경
(2) Cross Media 캠페인 개념 및 적용
(3) Cross Media 상품 소개
3)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효과 평가
Ⅳ. 싱글소스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 가치평가
1. 싱글소스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 가치평가 체계
1) 싱글소스 크로스미디어 데이터의 출발
2) ‘싱글소스 크로스미디어 데이터’의 유형과 획득 활동
(1) 싱글소스 데이터 유형
(2) ‘싱글소스 크로스미디어 데이터’ 획득 활동
3) 싱글소스 광고매체 가치평가의 의미
2. 싱글소스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가치평가 사례
1) 미국의 Apollo Project
(1) 개요
(2) PPM 측정
(3) 홈 스캔 구매 측정 (homescan purchase measurement)
(4) 부가 조사(additional surveys)
(5) Apollo 프로젝트의 설계
(6) 결과
2) 영국의 TouchPoints
(1) TouchPoints의 배경
(2) 개요
(3) TouchPoints 설계
(4) 향후 전망
3) 기타 외국의 사례
(1) 이탈리아 : Eurisko Dialogue Machine
(2) 덴마크 : ASTAS Survey
(3) 러시아 : FMCG 효과분석
(4) 중국 : 내구재/비내구재 광고효과분석
Ⅴ.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 가치평가 실증분석
1. MCR조사와 ‘싱글소스 크로스미디어 데이터’ 광고매체가치 평가
1) ‘싱글소스 크로스미디어 데이터’로서의 MCR 조사
2) MCR조사 내 싱글소스 크로스미디어 소비관련 측정항목 추출
2. MCR를 통해 본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소비 현황
1) 주요 광고매체에 대한 이용 현황
2) 주요 광고매체에 대한 크로스미디어 개별이용 현황
3) 주요 광고매체에 대한 크로스미디어 동시이용 현황
3. 싱글소스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가치평가 연구모형
1) 기존의 크로스미디어 광고효과 진단관련 사례
2) 광고매체가치평가 연구모형을 위한 주요 연구문제
3)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가치평가를 위한 연구모형
4. MCR 데이터를 통한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가치 연구문제 진단
1) 연구모형 검정을 위한 실증분석 통계량
2) 크로스미디어 이용형태에 따른 매체 시너지 효과 분석 : 연구문제 1
3) 크로스미디어 결합유형에 따른 광고매체가치 차이 : 연구문제 2
4)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가치의 타겟별 차이 : 연구문제 3
5)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가치의 구매제품군별 차이 : 연구문제 4
6)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가치의 매체이용 시간대별 차이 : 연구문제 5
5. 크로스미디어 조합별 광고매체가치 비교
1) 지상파TV와 타매체간 크로스미디어에 따른 광고매체가치 비교
(1) 전체 소비자 대상
(2) 성별
(3) 연령별
(4) 지역별
(5) 직업별
(6) 시간대별
2) 케이블TV와 타매체간 크로스미디어에 따른 광고매체가치 비교
(1) 전체 소비자 대상
(2) 성 별
(3) 연령별
(4) 지역별
(5) 직업별
(6) 시간대별
3) 그 외 매체들의 크로스미디어에 따른 광고매체가치 비교
(1) 전체 소비자 대상
(2) 성 별
(3) 연령별
(4) 지역별
(5) 직업별
(6) 시간대별
Ⅵ. 결론
1. 싱글소스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가치 평가의 의미
1) 싱글소스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가치 평가의 의의
2) 기존 ‘싱글소스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 측정의 시사점
2.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가치 실증분석 결과 논의
1) 연구모형을 위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2) 크로스미디어 이용형태에 따른 매체 시너지 효과 분석 결과
3) 크로스미디어 결합유형에 따른 광고매체가치 차이 진단 결과
4)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가치의 타겟별 차이 진단 결과
5)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가치의 구매제품군별 차이 진단 결과
6)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가치의 매체이용 시간대별 차이진단 결과
3. 국내 싱글소스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 측정의 방향
1) 기본 방향 및 운영 개념
2) 싱글소스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 측정 활동
(1) 멀티미디어 소비에 대한 측정시스템 운영
(2) 구매이력 측정을 위한 판매시점관리(POS, Point of Sales) 시스템
(3)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가치관, 브랜드인식에 대한 조사
(4) 기존 사업과의 연계 및 통합 활동
3)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 측정치의 신뢰성 제고 노력
(1) 배 경
(2) 외국의 신뢰성 제고사례 및 향후 검토방안
(3) 신뢰성 제고 활동의 의의
4. 공사에의 시사점
1) 기대효과 및 기존사업의 연계성
2) 공사의 ‘크로스미디어 광고매체 측정치 신뢰성 제고’ 업무 적합성
5. 연구의 함의 및 과제
1) 연구의 함의
2) 연구의 한계 및 과제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정보시스템 취약성 평가
- 신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옥외광고 콘텐츠 전략과 실행에 관한 전문가 인식연구3)
- 유튜브 동영상 광고의 노출 및 반복효과 : 실제 집행 결과를 통한 분석
- ‘댓글 이벤트’, 어떤 효과가 있는가?: 유튜브 인플루언서 콘텐츠의 프로모션에 대한 댓글 반응 분석
- 생성형 AI 기술이 바꾸는 광고PR의 현재와 미래: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본 시사점
- 한국, 미국, 스웨덴의 소비문화 비교 - 성별, 세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 강제노출광고 시간지각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지불공정성과 심리적 반발을 중심으로
- 광고 실무자와 소비자가 보는 숏폼 광고 속성 측정에 관한 연구 :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항공사의 ESG 활동이 기업이미지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항공사 규모와 ESG 적합도의 조절효과
- CJ올리브영의 창조적 파괴: 옴니채널 전략에 의한 K-Beauty 혁신 역량 창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