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사 텍스트와 매체의 관계 연구 : 신매체의 등장과 서사 텍스트의 재매개 양상을 중심으로
자료요약
이 논문의 목적은 `서사`가 `매체`를 만나 소통되어온 `관계`와 `양상`을 밝히는 것에 있다. 특히, 근대 이후 사회 변화나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인하여 `새로운 매체`가 등장할 무렵을 초점으로 삼아 서사와 매체의 관계 양상을 좀 더 특징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각각의 신매체가 등장하던 시기, 서사의 생산자는 `신매체`를 통해 서사를 어떻게 담아내려 했으며 또한 그것이 어떻게 대중들과 소통될 수 있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서사와 매체의 관계 역학을 밝히고자 한다. 최근 문학 연구는 영화와 같은 영상매체나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매체에 이르기까지 그 대상의 폭을 넓혀 가고 있다. 그러한 관심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문학 연구가 왜 이러한 매체들에게까지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것인지, 혹은 왜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한 검토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채, 하나의 유행처럼 파편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디지털 매체에 대한 연구는 기존 매체와의 차별성을 지나치게 부각시킴으로써 디지털 매체를 또 하나의 틀 속에 가두어버리는 결과를 낳고 있기도 하다. 본 논문은 `신매체`의 등장이 기존 서사 매체와의 상호 영향 관계 속에서 기존의 매체를 보완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것이며, 이렇게 등장한 신매체 역시 또다른 매체의 매개 대상이 된다는 관점 하에서 `재매개 remediation`라는 용어를 통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서사텍스트
매체
문자성(文字性)
신매체
문학
서사
신문
기자
잡지
단행본
동인지
문예지
연극
영화
전파 · 전자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