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중 관계성 향상을 위한 PR도구로서 전자정부의 가능성 탐색 연구
한국홍보학회 | 39 pages| 2012.10.24| 파일형태 :
조회 2022 다운로드 3
자료요약
인터넷 등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정부의 정보 공개, 시민의 정책 참여,
공공 서비스의 제공 등 많은 정부 업무가 온라인 플랫폼으로 이동하게 되었으
며, 이를 일반적으로 전자정부(e-government)라 일컫는다. 효율적인 정보·서
비스의 제공과 정부-공중 간 상호작용 증진을 통해 정부-공중 간 우호적 관계
를 형성하는 것이 정부PR의 궁극적 목적이라고 볼 때, 전자정부의 활성화는
성공적인 정부PR의 수행과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정부를
통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과 시민 정책 참여가 정부-공중 관계성(정부에 대한
공중의 신뢰도로 측정)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았다. 24개국 데이터를 이
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개의 군집으로 나뉘었으며, 각 군집의 특성
을 변량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요약컨대, 전자정부 활용이 낮은 국가들(군집
C)은 대체로 낮은 정부 신뢰도를 보여준 반면, 전자정부 활용이 활발한 국가들
은 정부에 대한 신뢰가 낮은 군집(군집A)과 높은 군집(군집B)으로 나뉘었다.
이를 통해, 활발한 전자정부의 활용이 긍정적인 정부-공중 관계를 위한 필수
요소이며 효율적인 PR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나, 전자
정부를 통한 서비스 제공과 시민 참여가 반드시 정부에 대한 높은 신뢰를 보장
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정부-공중
관계 형성을 위해 전자정부를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해야 할지 정부PR의 관점에
서 논의하였다.
목차
1. 서론
2. 문헌연구 및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정부PR 전자정부 정부-공중 관계성 신뢰도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홍보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