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CJ?메조미디어] 2025 타겟?리포트_50대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 [CJ?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5월 호
- 신규 매체 및 신규 광고 상품 ? 캐치테이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주목 권력으로서 언론의 성격 변화와 문제 해결 방안
한국언론학회 |
50 pages|
2025.05.12|
파일형태 :

자료요약
권력으로서 언론에 대한 기존의 성격 규정은 디지털 미디어 시대로 접어들면서 의미를 상실하고 있다. 이는 언론이 낙관적인 다원주의의 기대를 무너뜨리면서 디지털 권력 조합의 일원으로서 기능하는 것과 관련이 있고, 또한 주목 권력으로서 언론의 역할 변화와 밀접하게 연결된다. 언론 주목 권력의 성격 변화에서 가장 두드러진 점은 언론이 디지털 자본주의 체제에 순응하면서 기존 권력과 통합적인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고, 이는 주목 권력으로서 언론의 성격이 사회문화권력에서 경제권력으로 강조점이 변화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 언론 주목 권력의 성격 변화는 디지털 주목 자본주의, 주목 네트워크 형성, 주목 이데올로기 장치, 개인화된 주목 감시와 관련이 있다. 언론은 성격 변화를 통해서 주목 권력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특히 정치-시장 권력과의 결탁을 통해서 권력 조합을 더 공고히 하는 방향으로 디지털 언론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 에세이는 이러한 언론 주목 권력의 성격 변화에 대한 진단을 바탕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용자 중심의 주목 통제권 회복을 기반으로 두고, 언론 내부에서 언론인의 노동 정체성, 대안적인 비즈니스 모델, 공적인 지배구조 형성을 통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목차
1. 들어가기 - 언론은 권력인가?
2. 권력의 유형화와 언론 권력의 의미
3. 네트워크 권력 조합과 저널리즘의 실패
4. 디지털 환경과 주목 권력의 성격 변화
5. 문제의 해결 - 언론의 실패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2. 권력의 유형화와 언론 권력의 의미
3. 네트워크 권력 조합과 저널리즘의 실패
4. 디지털 환경과 주목 권력의 성격 변화
5. 문제의 해결 - 언론의 실패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언론 권력#주목 권력#낙관적 다원주의#네트워크 권력 조합#저널리즘#Media Power#Attention#Optimistic Pluralism#Network Power Assemblage#Journalism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