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지자체의 지역신문 금전적 지원에 의한 매체포획과 지역신문의 보도
한국언론학보 |
한국언론학회 |
47 pages|
2025.05.12|
파일형태 :

자료요약
지역신문에 대한 금전적 지원을 둘러싸고 찬반 양측이 첨예하게 대립한다. 한편은 지역신문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 금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반대편은 금전적 지원이 매체 포획의 수단으로 작용해 지역신문의 권력 견제 기능이 후퇴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그동안 지역 정부의 언론에 대한 금전적 지원이 지원받은 언론사의 보도에 미친다는 주장은 많았지만, 그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초지자체의 금전적 지원이 지역신문 시정 보도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그 효과가 정치-언론 간 인적 연관성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탐구했다. 2019년~2023년 5년간 대구, 대전, 인천의 10개 기초지자체가 지역신문에 지출한 광고료와 신문 구독료를 합산한 금전적 지원을 독립변수로, 시정 보도의 지자체에 대한 논조와 취재원 다양성을 종속변수로 사용해 일반화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가설대로 지역정부의 금전적 지원은 지역신문 시정보도에서 지자체에 대한 긍정적인 보도를 증가시키고 부정적인 보도는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가설과 다르게 시정보도에서 다양한 취재원을 인용하도록 유도하는 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019년~2023년 5년간 각 지자체가 임용한 언론사 출신 공무원 수를 측정해 정치-언론 간 인적 연관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했지만 인적 연관성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지역신문에 대한 금전적 지원은 역기능과 순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어, 다각적인 해석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이 연구는 한국 언론에서 매체 포획에 특히 취약한 위치에 놓여 있는 지역신문이 언론 지원 정책에 따라 지면이 변할 수 있다는 통념을 확인하면서, 그간 한국 언론학이 잘 다루지 않았던 정치-언론 인적 연관성과 신문 구독료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
목차
1. 문제 제기
2. 지역 언론에 대한 매체 포획의 심각성
3. 지자체 금전적 지원에 따른 지역 신문의 보도내용의 변화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과 함의
2. 지역 언론에 대한 매체 포획의 심각성
3. 지자체 금전적 지원에 따른 지역 신문의 보도내용의 변화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과 함의
#local newspapers#media capture#financial support#human connections#content analysis#지역신문#매체 포획#금전적 지원#인적 연관성#내용 분석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