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CJ?메조미디어] 2025 타겟?리포트_50대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 [CJ?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5월 호
- 신규 매체 및 신규 광고 상품 ? 캐치테이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자료요약
본 연구는 상사의 코칭행위가 구성원들의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특히, 상사의 코칭행위와 구성원들의 직무열의 간의 관계를 자기 효능감과 직무 의미성이 매개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즉, 상사의 코칭행위가 향상될수록 구성원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과 직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이를 통해서 직무열의도 높아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상사의 코칭행위와 자기 효능감 및 직무 의미성 간의 관계들은 상사와의 신뢰관계에 의해 조절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코칭행위와 직무열의 간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칭행위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는 자기 효능감과 직무 의미성에 의해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코칭행위와 자기 효능감 그리고 직무 의미성의 관계는 신뢰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와 신뢰관계가 낮은 집단 보다는 높은 집단에서 코칭행위와 자기 효능감 그리고 직무의미성 간의 관계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상사의 코칭행위가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수 있으며, 상사와 신뢰관계가 확보될 경우에 일부 긍정적인 효과는 더 향상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토론
참고문헌
Abstract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토론
참고문헌
Abstract
#코칭행위#자기 효능감#직무 의미성#직무열의#신뢰#Coaching Behavior#Self-efficacy#Job Meaningfulness#Job Engagement#Tr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