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플레이디]2024 반려동물 업종 트렌드 리포트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3월 호
- 현대자동차 “기업PR영상홍보” 외 4개 캠페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F1스포츠스폰서링과스포츠마케팅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디지털 시대의 온라인 공중 집단행동에 대한 집단 효능감의 역할 : 청와대 국민청원 사이트 참여를 중심으로
자료요약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미디어 특성이 온라인 공중의 집단 효능감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분석하고, 나아가 집단 효능감이 개인의 집단행동 참여 의도를 어떻게 높일 수 있는지 파악하길 시도한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개인의 집단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집단 정체성의 구성, 집단 효능감의 형성, 그리고참여 효능감의 역할을 설명하고 각각의 논리적인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대 이상 인구 중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사이트를 알고 있는 샘플을 연구 대상으로, ‘소년법적용 연령 인하 청원’과 관련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했다. <결과> 연구 결과, 개인의 이슈에 대한 문제 인식과 제약 인식이 집단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개인이 온라인 공동체로서 느끼는 집단 정체성이 온라인 집단에 대한 집단 효능감에 유효한 영향력을 보임을 밝혀냈다. 마지막으로 참여 효능감이 집단 효능감과 참여 의도 사이에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을확인했다. <논의 및 결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학문적으로 기존 집단 효능감 연구의 한계와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실무적으로 온라인을 통한 사회 변화 운동이나 캠페인 참여를 유도하는 데 실증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how computer-based communication affects the formation of the individual’s collective efficacy, and to identify how collective efficacy increases the individual’s participation intention, in an online group.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the ‘Blue House online petition’ participants. As a result, this study reached three theoretical conclusions. First, personal problem cognition, social problem cognition, and constraint cogni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ocial identity of the online public. Second, social identity of the online public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llective efficacy. Third, participative efficacy has moderate effect on collective efficacy and the individual’s participation inten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formation and application, of collective efficacy. Furthermore, this study can offer practical help for PR campaigners to design online campaigns and social change mov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how computer-based communication affects the formation of the individual’s collective efficacy, and to identify how collective efficacy increases the individual’s participation intention, in an online group.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the ‘Blue House online petition’ participants. As a result, this study reached three theoretical conclusions. First, personal problem cognition, social problem cognition, and constraint cogni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ocial identity of the online public. Second, social identity of the online public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llective efficacy. Third, participative efficacy has moderate effect on collective efficacy and the individual’s participation inten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formation and application, of collective efficacy. Furthermore, this study can offer practical help for PR campaigners to design online campaigns and social change movements.
목차
국문요약
서론
이론적 배경
집단 효능감
온라인 공중과 집단 정체성
집단 정체성과 집단 효능감
참여 효능감
연구 방법
조사 방법 및 자료 수집
설문의 구성
조작적 정의 및 측정
자료 분석 방법
연구 결과
참가자 특성
주요 변인의 측정
측정 모형의 타당성 평가
연구가설의 검증
결론 및 논의
서론
이론적 배경
집단 효능감
온라인 공중과 집단 정체성
집단 정체성과 집단 효능감
참여 효능감
연구 방법
조사 방법 및 자료 수집
설문의 구성
조작적 정의 및 측정
자료 분석 방법
연구 결과
참가자 특성
주요 변인의 측정
측정 모형의 타당성 평가
연구가설의 검증
결론 및 논의
한국PR학회
청와대
국민청원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