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의 투표 참여 의도를 이끄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정치 대화와 투표자 우대 제도, 내재적·외재적 정치 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 한국PR학회 | 29 pages| 2018.11.26| 파일형태 :
조회 3439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투표 참여 의도에 관련한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25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투표 참여의 장애 요인인 청년 공약 부족에 대한 인식과 정치 대화 부재, 투표 참여 촉진 요인으로 민주시민교육과 투표자 우대 제도, 그리고 투표 참여에 대해 내·외재적 정치 효능감 등이 대학생의 투표 참여 의도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에 따르면, 정치적 대화는 외재적 정치 효능감에 한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치에 대한 주제로 대화를 나눌수록 외재적 정치 효능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재적 정치 효능감은 투표 참여 의도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표 촉진 요인 중 투표 참여자 우대 제도에 대한 인식이 내재적 정치 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투표 참여자 우대 제도와 같은 보상을 제공하면 투표율이 올라갈 것이라고 인식할수록 자신의 정치에 대한 영향력을 더욱 낮게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내재적 정치 효능감에서 투표 참여 의도 간의 경로를 살펴보면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는데, 내재적 정치 효능감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할수록, 투표 참여 의도는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에게 투표 참여자 우대 제도는 오히려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장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내·외재적 정치 효능감과 투표 참여 의도 간의 경로를 검증한 결과, 두 차원의 정치 효능감은 투표 의도에중요한 선행 변인임이 확인되었고, 대학생들이 정치에 대한 대화에 보다 활발히 참여하는 것이 이들의 적극적인 투표 행동에 중요한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factors that lead colle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voting. A survey was conducted by use of questionnaires. The sample size was 259 students. College students identified lack of political conversations and of policy pledges for them as barriers and need for civil education and preferential voting as promoting factors for voting. Subsequently the study empirically tested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on both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efficacy on voting intention. It was established that political conversations variabl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external political efficacy. External political efficacy variable was related to voting intention. Most respondents perceived that politicians neglect and improperly respond to people’s needs, the higher intention of their voting participation. Perceptions that preferential voting system help higher voting turnout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nal political efficacy. A path from internal political efficacy to voting in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that the lower internal political efficacy respondents perceived, the lower respondents’ voting intention were expressed. The results suggest that both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efficacy are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college students’ voting intention. Efforts to encourage political conversations among college student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external efficacy and voting intention.
목차
요약
들어가는 말
선행 연구 고찰
대학생의 투표 참여 행동에 대한 이해
투표 참여 장애 요인: 청년 공약 부재, 정치 대화 부재
투표 참여 촉진 요인: 민주시민 교육, 투표자 우대 제도
정치 효능감: 내재적·외재적 효능감
연구 방법
조사 방법 및 연구 대상 선정
조작적 정의 및 척도 구성
연구 결과
표본 특성
연구문제의 검증
결론 및 함의
대학생 투표 정치 정치효능감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PR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