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의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채택의도에 관한 연구 : 지각된 행동통제, e헬스 리터러시, 기술 불안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 한국광고홍보학회 | 32 pages| 2025.07.08| 파일형태 :
조회 5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전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로 인해 고령층의 건강 관리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HWDs)는 의료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고령층의 건강 관리를 지원하는 유용한 도구지만, 실제 사용률은 낮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고령층의 HWDs 채택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건강신념모델(HBM)을 기반으로 이성적·감성적 요인을 통합한 확장 모형을 제안해 고령층의 HWDs 채택 과정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HBM의 지각된 취약성을 지각된 행동통제로 대체하고, e헬스 리터러시와 기술 불안을 선행변수로 추가한 결과, 1) 수정된 HBM이 기존 모델보다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며, 2) 최종 모형은 채택의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3) 지각된 행동통제, 지각된 이익, 지각된 심각성은 채택의도와 정적 관계를, 지각된 장애는 부적 관계를 보였고, 4) 기술 불안은 지각된 행동통제와 부적 관계, 지각된 장애와 정적 관계를 나타냈으며, e헬스 리터러시는 지각된 이익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성적, 감성적 요인을 통합하여 확장한 HBM 모형이 고령층의 HWDs 채택의도를 설명하는 데 효과적임을 나타내며 기술 불안 완화와 e헬스 리터러시 향상이 고령층의 HWDs 채택 촉진에 있어 핵심 과제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e헬스-IT와 헬스커뮤니케이션 분야 연구에 학술적 함의를 가지며, 고령층 건강 관리 촉진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1. 서론
2. 문헌 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기술 채택#인구 고령화#건강신념모델#e헬스 리터러시#기술 불안#Technology adoption#Aging population#Health Belief Model#E-Health literacy#Technological anxiety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광고홍보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