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요약
본 연구는 프로스포츠 구단에서 발생하는 ESG 워싱 논란에 대한 위기 대응 전략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스토리텔링: 사용 vs. 미사용) × 2(사전 평판: 긍정적 vs. 부정적) 집단 간 요인 설계를 기반으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과 메시지 내 스토리텔링 사용 여부와 평판 조건에 따라서 공중의 태도, 충성도, 구전 의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사과 메시지와 좋은 사전 평판의 긍정적인 주효과 뿐만 아니라 두 변인 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사전 평판이 긍정적인 조직은 스토리텔링을 접목해서 위기 대응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었다. 특히, 비스토리텔링 대비 스토리텔링의 상대적인 효과는 부정적인 사전 평판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아온 조직이라도 위기 상황에서 스토리텔링 메시지가 위기 극복을 위한 전략적인 선택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ESG 워싱과 같이 기업에 높은 위기 책임감이 있는 상황에서 스토리텔링과 사전 평판을 고려한 위기 대응 전략은 공중의 부정적인 반응을 완화하고 조직을 보호하는 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ESG 워싱#스토리텔링#사전 평판#위기 커뮤니케이션#위기 대응전략#태도#충성도#구전 의도#프로스포츠#ESG-washing#Storytelling#Prior reputation#Crisis communication#Crisis response strategy#Attitudes#Loyalty#Word-of-mouth intentions#Professional sp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