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미디어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명지대학교 | 182 pages| 2006.12.01| 파일형태 :
조회 2275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미디어 교육을 실시한 후 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학생들과 미디어 교육 효과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했다. 미디어 교육은 청소년들이 비평능력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가는 것이고 이것이 곧 미디어 능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능력에 대한 개념은 Thoman(1986), Baacke(1997)와 Moser(1999)의 연구에서 규정한 `미디어 능력`을 원용해 사용했다. 미디어 능력은 미디어 조작능력, 미디어 이용능력, 미디어 비평능력, 미디어 제작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미디어 이용능력과 미디어 비평능력(이해력, 분석력, 비판력)을 미디어 능력 개념으로 하고 청소년의 미디어 신뢰성과 참여의식을 부연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경기도 안양지역 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5년 7월부터 2006년 8월까지 14개월에 걸쳐 연구주제 설정 및 계획, 사전 평가 및 설문조사, 수업모형 개발, 실험 수업, 사후 평가결과 분석 과정을 거쳐 연구가 진행됐다. 연구결과 미디어 교육을 받은 청소년들은 미디어에 대한 이해력이나 분석력, 비판력, 미디어 선택능력, 미디어 신뢰성, 미디어 참여의식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에서 밝히고자 했던 비평능력(이해력, 분석력, 비판력)이 향상된 청소년의 미디어 선택능력이 높아진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소년들의 미디어 선택능력 향상은 미디어 교육을 통해서 청소년 스스로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높아진 것이어서 교육효과를 입증한 것이다. 그러나 미디어 이용능력은 향상되지 않았다. 이는 청소년들의 미디어 이용능력이 장비를 이용한 훈련 없이 이론적인 교육으로는 향상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청소년들은 교육현장에서 미디어에 대한 이용능력 배양 교육보다는 스스로 터득하는 것이 더욱 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 청소년들의 미디어 이용능력은 자기 스스로 또는 또래들을 통해 배우고 이용 능력을 배양시켜 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청소년과 미디어 미디어 교육 미디어 이용행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설문 설문조사 설문조사결과 설문결과 리서치 서베이 survey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명지대학교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