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행동 형성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사회적 위험 감소동기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 한국광고홍보학회 | 46 pages| 2025.03.07| 파일형태 :
조회 96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이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사회적 위험에 대한 개인의 대응행동 형성과정을 사회적 위험 감소동기모형을 통해 탐색했다. 전국 성인남녀 43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대응행동의 형성과정은 사회적 위험 감소동기 모형의 가정을 대체로 지지했다. 먼저 기후재난 경험과 생태 정체성은 기후변화 문제에 관한 미디어 노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미디어 노출은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사회적 위험인식을 증가시켰다. 사회적 위험인식은 인지적 관여도 및 정서적 관여도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고 오프라인 기후변화 대응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관여도 중 가치 관여도와 인상관리 관여도, 정서적 관여도인 기후불안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관여도 변인들은 사회적 위험인식과 온라인 기후변화 대응행동에 대해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효능감 변인 가운데 기관 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발견됐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위험으로써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는 개인의 행동 형성과정을 설명하는데 사회적 위험 감소동기 모형의 유효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관여하는 다양한 요소들의 영향력과 기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미디어 효과#사회적 위험#기후변화 대응행동#관여도#효능감#Climate change#Media effect#Societal risk#Climate change responsive behavior#Involvement#Efficacy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