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루언서의 전문성과 메시지 측면성의 효과 :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 한국광고홍보학회 | 46 pages| 2025.03.07| 파일형태 :
조회 97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메시지 측면성과 정보원 신뢰도(전문성)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대한 주효과와 직접적인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넘어,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토대로 두 요인이 관여도에 따라 동시에 변화하는 양상을 분석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232명을 대상으로 2(메시지 측면성: 일면/양면) X 2(전문성: 높음/낮음) X 2(관여도: 높음/낮음) 설계의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면적 메시지가 양면적 메시지보다 더 높은 브랜드 태도 및 구매 의도가 나타났다. 둘째, 정보원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브랜드 태도와 구매 의도가 모두 증가하였다. 셋째, 관여도가 낮을 때 브랜드 태도는 양면적 메시지보다 일면적 메시지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지만, 관여도가 높아질수록 양면적 메시지의 효과가 높아지며 메시지 측면성에 따른 효과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게 변화하였다. 넷째, 전문성이 높을수록 구매 의도가 높아지는 양상은 관여도가 낮아질수록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메시지 측면성과 전문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목차
1. 문제 제기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메시지 측면성#정보원 신뢰도#관여도#정교화 가능성 모델#Message Sidedness#Source Credibility#Involvement#Elaboration Likelihood Model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