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플레이디]2024 반려동물 업종 트렌드 리포트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3월 호
- 현대자동차 “기업PR영상홍보” 외 4개 캠페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F1스포츠스폰서링과스포츠마케팅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중국 중장년여성의 틱톡(TikTok) 이용 및 자기표현에 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이론 |
한국언론학회 |
52 pages|
2025.02.03|
파일형태 :

자료요약
중국 중장년층의 인터넷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이들은 틱톡과 같은 숏폼(short-form) 동영상 플랫폼을 주요 소통 및 오락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틱톡은 단순히 정보나 오락을 넘어, 자기표현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중장년여성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틱톡(TikTok) 이용 특성과 자기표현 방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중장년 여성들의 틱톡 이용은 세 가지 특징을 보였다. 첫째, 틱톡의 맞춤형 콘텐츠와 높은 접근성으로 인해 응답자들은 이를 전통 매체를 대체하는 주요 매체로 사용하고 있었다. 둘째, 응답자들은 새로운 기술에 대해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셋째, 틱톡을 통해 사회적 연결을 구축하고 강화하고 있었다. 자기표현 방식으로서, 중장년 여성들은 뷰티 필터를 활용해 젊고 이상적인 외모를 표현하며 자신감을 얻고 있었다. 또한 노스탤지어(nostalgia) 감성을 기반으로 과거의 경험을 공유하며 사회적 연대를 형성하였다. 이들은 틱톡을 통해 취미와 일상을 기록하며, 긍정적인 이미지를 전달하고 개인적 가치를 재확인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틱톡 이용과 자기표현은 중장년여성들의 성장 환경과 세대적 특징에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또한 중국 중장년여성들의 SNS 사용은 이들의 정체성 형성 및 사회적 역할을 재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목차
1. 서론
2. 문헌연구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요약 및 결론
2. 문헌연구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요약 및 결론
#중장년층 여성#틱톡 이용#자기표현#심층인터뷰#Middle-aged women#TikTok use#Self-expression#In-depth interview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