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언론은 선거 여론조사 결과를 선택적으로 보도하는가? : 제20대 대선에서 조사기관 편향 및 조사결과의 격차와 보도 빈도의 관계에 대한 베이지안 분석
한국언론학보 | 한국언론학회 | 37 pages| 2025.02.03| 파일형태 :
조회 89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여론조사는 현대 정치 선거 과정에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간주된다. 그런데, 언론이 조사를 취사선택하여 여론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객관성과 공정성의 원칙을 준수하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차례 의문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언론이 정파성에 따라 특정 여론조사를 더 높은 확률로 보도하는지, 만약 그렇다면 그러한 편향성의 효과가 전사회적 차원에서 어느 정도 수준에 해당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20대 대통령 선거운동 기간 이루어진 311개 여론조사 결과를 보도한 4,020건의 언론 기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언론이 정파성에 따라 여론조사 결과를 선택적으로 보도하는 가설적인 상황을 ‘선택적 보도’ 행위로 명명하고, 이를 조사기관 편향에 따른 선택적 보도와 조사 결과에 따른 선택적 보도로 나누어 그러한 보도 편향이 실재하는지 알아보았다. 베이지안 상태공간 모형과 계층적 푸아송 회귀를 이용한 분석 결과, 조사기관의 편향, 조사 결과에 나타난 격차가 보도 확률과 유의미한 연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언론사의 당파성에 따른 선택적 보도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 결과와 분석 방법은 언론과 여론조사의 신뢰 회복을 위한 향후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1. 서론
2. 문헌 검토 및 이론적 논의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논의와 연구의 한계
#election polls#election news#house effect#selective reporting#Bayesian hierarchical models#여론조사#선거보도#하우스 효과#선택적 보도#베이지안 계층 모형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