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집단 정체성이 노동조합 파업 뉴스 선택적 노출에 미치는 영향 : 감정 예측과 태도-정파성 일치 여부의 조절된 매개 효과
한국언론학보 | 한국언론학회 | 38 pages| 2025.02.03| 파일형태 :
조회 58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선택적 노출(selective exposure)은 양분(兩分)된 의견이 있는 사안에 대해 개인이 자신의 기존 태도나 신념에 부합하는 정보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려는 경향이다. 본 연구는 정치화된 사회 이슈인 국내 노동조합 파업 기사들에 대해 선택적 노출 경향이 나타나는지 검증하고, 정치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선택적 노출의 영향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의 정치적 집단 정체성이 감정 예측을 통해 선택적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모델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변인 간의 관계가 노조 파업 이슈에 대한 개인의 태도-정파성 일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조절된 매개 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온라인 설문 전문 기관을 통해 전국 20세 이상 성인(N = 1,00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 조사 결과, 국내 노조 파업에 대한 자신의 기존 태도와 일치하는 언론 보도를 더 많이 읽으려고 하는, 선택적 노출 경향이 발견되었다. 또한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의 정체성을 깊이 내면화한 사람일수록, 정치 성향과 불/일치하는 뉴스 기사를 접했을 때 느낄 부정적/감정적 감정을 더 강하게 예측하였으며, 이는 선택적 노출 수준의 증가로 연결되었다. 나아가, 정치적 집단 정체성이 감정 예측을 통해 선택적 노출에 미치는 영향은, 노조 파업에 대한 개인의 태도-정파성 일치 여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조 파업에 대한 자신의 태도와 정파성이 일치하는 사람들은 정파 정보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감정 예측 수준이 높을수록 노조 파업에 대한 선택적 노출 수준이 증가하였다. 반면, 노조 파업에 대한 태도와 정파성이 불일치하는 집단에서는, 지지정파에 대한 비판적 정보 노출에 대해 부정적 감정 예측이 높을수록, 노조 파업에 대한 선택적 노출 수준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한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목차
1. 서론
2. 문헌 고찰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논의
#selective exposure#political group identity#affective forecasting#union strikes#선택적 노출#정치적 집단 정체성#감정 예측#노동조합 파업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