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성 예측에서 실현 왜도와 첨도가 갖는 정보효과
경영학연구 |
한국경영학회 |
39 pages|
2024.03.22|
파일형태 :

자료요약
금융시장에서 일중 고빈도 자료의 이용이 증대함에 따라 이를 이용한 실현변동성(RV)과 이질적 자기회귀모형(HAR)을 결합하여 미래 변동성의 예측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OSPI의 일중 고빈도 자료를 이용하여 실현변동성의 측정, 실현왜도와 실현첨도를 새로이 포함하는 이질적 자기회귀모형의 구성과 이에 기초한 미래 변동성의 예측성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실현변동성을 측정하고 실현변동성으로부터 불연속적 점프요소를 비모수적으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기존연구에서 확인되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개선된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주요 결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주식시장에서 과거기간의 실현변동성을 반영한 이질적 자기회귀모형은 미래 실현변동성의 변화에 대하여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며, 상이한 속성을 갖는 실현변동성의 연속적 요소와 불연속적 점프요소를 분리하여 모형에 적용하는 것은 미래 실현변동성의 변화에 대한 설명력을 개선하는데 유용하다. 둘째, 새로이 실현왜도와 실현첨도를 포함한 HAR-RV모형은 미래 실현변동성에 대한 설명력과 예측성과를 분명하게 개선하는 증거를 보여준다. 즉, 실현왜도와 실현첨도는 이질적 투자자들의 특성에 따른 장단기 변동성의 변화를 보다 잘 설명할 수 있는 추가적 정보를 가지며, 미래 변동성에 대한 설명력과 예측력을 개선할 수 있는 주요한 변수이다. 또한 새로운 설명변수의 유용성은 기존에 알려진 변동성 레버리지효과와 하루 중 수익률 변동성의 특성에 무관하게 성립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실현변동성의 측정과 분해
Ⅲ. 표본자료와 실증모형
Ⅳ. 실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Ⅱ. 실현변동성의 측정과 분해
Ⅲ. 표본자료와 실증모형
Ⅳ. 실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고빈도자료
실현변동성
이질적 자기회귀모형
실현왜도
실현첨도
Intraday high frequency data
Realized Volatility
Heterogenous autoregressive model
Realized skewness
Realized kurtosis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