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지 소구유형에 따른 유방암 캠페인 효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 98 pages| 2007.08.01| 파일형태 :
조회 1335 다운로드 7
자료요약
본 연구에서는 여성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질환으로 최근 그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유방암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방자가검진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방암 메시지 소구유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즉, 유방암 예방 캠페인을 실행하는데 있어 우리나라의 여성에게 적합한 효과적인 메시지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보고 어떠한 소구유형(긍정/부정, 가족/개인)이 유방암 예방 캠페인에 효과적일 것인가를 실험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메시지 소구유형에 따른 유방자가검진 행동의도를 알아보기 위해 유방암 발생률과 관련하여 발생률이 높은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여 20대에서 60대 여성을 선정하여 총360를 배포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물은 4개의 메시지로써 메시지 유형에 따라 긍정적/부정적 메시지와 가족주의/개인주의로 조작하였고, 메시지 유형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한 조건으로 처치하였다. 통계분석은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t-검정(t-test),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 결과를 살펴보면 긍정적 소구와 부정적 소구유형 모두 건강신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가족주의 소구유형과 개인주의 소구유형에서도 건강신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정적 메시지 소구효과 가족 중심주의 조작점검(manipulation checks)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양대학교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