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그림책의 비문자 체계적 언어 소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 83 pages| 2006.11.01| 파일형태 :
조회 1510 다운로드 4
자료요약
본 연구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올바른 이해를 통해 어린이들에게 효과적인 그림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림책은 전통적인 학습 미디어의 대표적인 도구로 이용되어 왔으나 아동교육의 관심증대와 넓어진 소비시장으로 인하여 다양한 그림책을 접하게 되면서 그림책이 하나의 고유한 예술 형태로 인정받는 시대가 되었다. 오늘날 부모, 교사, 아동, 일러스트레이터와 출판 업계 등은 구체적 커뮤니케이션의 프로그램으로 기획, 실험, 평가하여 좀 더 효율적인 그림책을 아동들에게 제공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에 대한 어린이의 이해력과 선호도가 지각 발단 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선호도에 따르는 어린이의 언어적 반응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 교육기관 중 부모의 교육수준과 사회경제적 수준이 중간층인 유치원과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4세에서 10세까지 총 782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교육기관급 교사들은 모두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한 2년 이상의 현장 교사경험이 있는 교사들이고, 선정된 유아의 연령은 2006년 10월을 기준으로 4세-7세와 8-10세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조사했다.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 좋은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기준 사진적 표현 어린이 발달적 특성과 그림책의 이해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이화여자대학교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