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플레이디]2024 반려동물 업종 트렌드 리포트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3월 호
- 현대자동차 “기업PR영상홍보” 외 4개 캠페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F1스포츠스폰서링과스포츠마케팅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자료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월세가구의 가계수지와 소비지출구조는 전세가구 및 자가가구와는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 월세가구의 월세부담은 소비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월세부담은 월세의 절대적 변화와 상대적 변화의 영향을 함께 살펴보기 위해 월세지출규모와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월세의 비중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4년 가계동향조사 원자료이며, 교차분석,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월세가구의 소득, 소비지출, 저축수준은 전세가구나 자가가구와 비교하여 낮았으며 적자가구의 비율이 더 높았다. 월세가구의 소비성향은 자가가구나 전세가주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월세지출에 기인하는 바가 컸다. 둘째, 월세가구는 전세, 자가가구보다 12개 비목 중 9개의 비목의 지출규모가 더 작았다. 소비비목별 지출비중을 보면 월세가구는 주거비 및 수도광열비의 비중이 25.3%로 가장 높았고, 이중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17.3%였다. 셋째, 월세규모가 크면 총량적인 의미에서 소비지출규모도 컸지만, 월세비중이 증가하면 소비지출규모는 오히려 작았다. 넷째, 월세가구는 월세규모의 증가보다는 월세비중에 대하여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는데, 월세비중이 증가하면 월세를 제외한 소비지출, 대부분의 세부 지출비목의 지출규모가 축소되었다. 다섯째, 월세규모와 월세비중 모두 소비지출비목간의 비중조정에 영향을 미쳤다. 월세규모와 월세비중이 증가하면 다른 대부분의 소비지출비중은 감소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의 고찰
2.1 주거비부담의 측정방법
2.2 주거비부담에 관한 연구
2.3 주거비부담이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Ⅲ. 연구방법
3.1 연구문제
3.2 자료
3.3 연구모형
3.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Ⅳ. 연구결과
4.1 월세가구의 가계수지와 소비지출구조
4.2 월세가구의 월세부담이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월세
월세부담
월세가구
소비지출
주거비부담
임대료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