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플레이디]2024 반려동물 업종 트렌드 리포트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3월 호
- 현대자동차 “기업PR영상홍보” 외 4개 캠페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F1스포츠스폰서링과스포츠마케팅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자료요약
본 연구는 소비자가 윤리적소비와 관련하여 경험한 감정의 본질은 무엇인지 이해하고 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15명의 윤리적소비의 경험과 관심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의 결과 윤리적소비에 대한 감정경험은 총 6개의 범주와 18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범주화는 ‘책임감: 알아야 되고 알게된 것에 대한 의무’, ‘정의감: 동행하는 삶을 위한 옳은 길’, ‘만족감: 뿌듯하고 기분 좋은 행복’, ‘유대감: 나와 너가 아닌 우리’, ‘자존감: 가치있는 의미를 추구하는 자부심’, ‘불편한 감정: 나와 인간, 구조를 바라보는 아쉬움’의 6가지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감정들은 서로 관련되었고 소비의 동기와 결과로 작용하였으며 소비행동 전반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감정경험을 포괄하는 본질은 “지구공동체에 대한 책임과 사랑으로 행복한 공존을 위해 불편도 감수하는 떳떳한 충족감”이라고 볼 수 있었다.
각 범주를 구성하는 주제를 살펴보면, 책임감은 ‘생산과정의 이면’, ‘소비의 지속가능성’, ‘전파하는 소비윤리’가 추출되었다. 정의감은 ‘약자를 배려하는 공정성’, ‘동물과의 조화로운 공존’, ‘화폐투표는 소비자주권’이 발견되었다. 만족감은 ‘안전과 신뢰’, ‘수용가능한 합리성’, ‘지구환경을 생각’, ‘더 행복한 나눔’, ‘시장거래보다는 관계’였다. 유대감의 주제는 ‘소비자에서 동반자로’, ‘마음이 통하는 사람’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의 주제는 ‘인격과 수준의 표현’, ‘양심과 떳떳함’이 추출되었다. 불편한 감정은 ‘신념과 행동의 불일치’ ‘다른 생각과 관점’, ‘구조와 한계’로 요약되었다.
참여자들은 윤리적소비를 통해서 개인적 만족뿐만 아니라 이를 넘어서 다음세대의 환경과 현세대의 인간과 동물의 복지를 고려하는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고 있었다. 공공선을 지향하는 윤리적소비는 결국 자신의 행복을 위한 길이라고도 볼 수 있으며 행복한 공동체를 만들어 내는 근본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윤리적소비의 동기화를 위해서는 개인의 만족과 공공의 이익을 위한 통합된 인격으로서의 덕의 함양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통해 소비자와 기업, 정책측면에 다양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각 범주를 구성하는 주제를 살펴보면, 책임감은 ‘생산과정의 이면’, ‘소비의 지속가능성’, ‘전파하는 소비윤리’가 추출되었다. 정의감은 ‘약자를 배려하는 공정성’, ‘동물과의 조화로운 공존’, ‘화폐투표는 소비자주권’이 발견되었다. 만족감은 ‘안전과 신뢰’, ‘수용가능한 합리성’, ‘지구환경을 생각’, ‘더 행복한 나눔’, ‘시장거래보다는 관계’였다. 유대감의 주제는 ‘소비자에서 동반자로’, ‘마음이 통하는 사람’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의 주제는 ‘인격과 수준의 표현’, ‘양심과 떳떳함’이 추출되었다. 불편한 감정은 ‘신념과 행동의 불일치’ ‘다른 생각과 관점’, ‘구조와 한계’로 요약되었다.
참여자들은 윤리적소비를 통해서 개인적 만족뿐만 아니라 이를 넘어서 다음세대의 환경과 현세대의 인간과 동물의 복지를 고려하는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고 있었다. 공공선을 지향하는 윤리적소비는 결국 자신의 행복을 위한 길이라고도 볼 수 있으며 행복한 공동체를 만들어 내는 근본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윤리적소비의 동기화를 위해서는 개인의 만족과 공공의 이익을 위한 통합된 인격으로서의 덕의 함양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통해 소비자와 기업, 정책측면에 다양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윤리적소비에 대한 개념이해
(1) 윤리적소비
(2) 비윤리적소비
2) 윤리적소비와 관련된 행동양식
3) 윤리적소비와 감정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방법
2) 자료분석방법
4. 연구결과
1) 책임감
(1) 생산과정의 이면
(2) 소비의 지속가능성
(3) 전파하는 소비윤리
2) 정의감 : 동행하는 삶을 위한 옳은 길
(1) 약자를 배려하는 공정성
(2) 동물과의 조화로운 공존
(3) 화폐투표는 소비자주권
3) 만족감 : 뿌듯하고 기분좋은 행복
(1) 안전과 신뢰
(2) 수용할 수 있는 합리성
(3) 지구환경을 생각
(4) 더 행복한 나눔
4) 유대감 : 나와 너가 아닌 우리
(1) 소비자에서 동반자로
(2) 마음이 통하는 사람
5) 자존감 : 가치있는 의미를 추구하는 자부심
(1) 인격과 수준의 표현
(2) 양심과 떳떳함
6) 불편한 감정 : 나와 인간, 구조를 바라보는 아쉬움
(1) 신념과 행동의 불일치
(2) 다른 생각과 관점
(3) 구조와 한계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2. 이론적 배경
1) 윤리적소비에 대한 개념이해
(1) 윤리적소비
(2) 비윤리적소비
2) 윤리적소비와 관련된 행동양식
3) 윤리적소비와 감정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방법
2) 자료분석방법
4. 연구결과
1) 책임감
(1) 생산과정의 이면
(2) 소비의 지속가능성
(3) 전파하는 소비윤리
2) 정의감 : 동행하는 삶을 위한 옳은 길
(1) 약자를 배려하는 공정성
(2) 동물과의 조화로운 공존
(3) 화폐투표는 소비자주권
3) 만족감 : 뿌듯하고 기분좋은 행복
(1) 안전과 신뢰
(2) 수용할 수 있는 합리성
(3) 지구환경을 생각
(4) 더 행복한 나눔
4) 유대감 : 나와 너가 아닌 우리
(1) 소비자에서 동반자로
(2) 마음이 통하는 사람
5) 자존감 : 가치있는 의미를 추구하는 자부심
(1) 인격과 수준의 표현
(2) 양심과 떳떳함
6) 불편한 감정 : 나와 인간, 구조를 바라보는 아쉬움
(1) 신념과 행동의 불일치
(2) 다른 생각과 관점
(3) 구조와 한계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윤리적소비
감정경험
현상학
질적연구
소비감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