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CJ?메조미디어] 2025 타겟?리포트_50대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 [CJ?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5월 호
- 신규 매체 및 신규 광고 상품 ? 캐치테이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심미적 브랜드의 모티프와 스타일이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
한국광고학회 |
24 pages|
2014.04.04|
파일형태 :

자료요약
소비자들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킴을 강조하는 심미적 브랜드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소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심미적 체험으로 정의된다. 기존 문헌에 의하면 심미적 브랜드는 브랜드 모티프와 브랜드 스타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브랜드의 핵심철학(모티프)을 독특하고 매력적이며 감각적으로 일관된 브랜드 스타일을 통해 목표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을 경우 심미적 브랜드가 완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심미적 브랜드를 구성하는 브랜드 모티프와 브랜드 스타일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처리 유창성(개념적 유창성과 지각적 유창성)에 근거하여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심미적 브랜드의 효과성은 소비자의 브랜드 정보처리 선유경향성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측하고 이를 함께 검증하고자 했다. 실증검증결과 브랜드 모티프가 명확하게 반영되었고, 브랜드 스타일이 심미성을 충족시켰을 경우 가장 호의적인 브랜드 태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모티프가 모호하게 반영되었다 하더라도 브랜드 스타일이 심미성을 충족시켰을 경우 호의적인 브랜드 태도로 이어졌다. 하지만 심미적 브랜드의 효과성은 소비자의 브랜드 정보처리 선유경향성에 따라서 다른 결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학문적 /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1)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
2) 심미적 브랜드의 구성요소 : 스타일과 모티프
3) 브랜드 스키마티시티 수준에 따른 심미적 브랜드의 평가 차이
3. 본 연구
1) 실험설계
2) 실험 브랜드 제작 및 사전조사
3) 실험절차 및 변수측정
4) 연구결과
4. 결론 및 향후 연구 제안
1) 연구 결과 요악 및 결론
2) 한계점 및 향후 연구 제안
참고문헌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1)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
2) 심미적 브랜드의 구성요소 : 스타일과 모티프
3) 브랜드 스키마티시티 수준에 따른 심미적 브랜드의 평가 차이
3. 본 연구
1) 실험설계
2) 실험 브랜드 제작 및 사전조사
3) 실험절차 및 변수측정
4) 연구결과
4. 결론 및 향후 연구 제안
1) 연구 결과 요악 및 결론
2) 한계점 및 향후 연구 제안
참고문헌
ABSTRACT
심미적 브랜드
모티프
브랜드
효과성
검증
소비자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