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플레이디]2024 반려동물 업종 트렌드 리포트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3월 호
- 현대자동차 “기업PR영상홍보” 외 4개 캠페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F1스포츠스폰서링과스포츠마케팅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식사 환경 지표 개발을 통한 식공간 디자인의 모듈 연구 : 한식당의 코스식 상차림을 중심으로
자료요약
우리의 전통 음식이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전통 음식의 상품화는 곧 국가 이미지 제고로 이어져 국제 수준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함은 물론 그에 따른 경제적 파생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음식이 화두(話頭)가 되는 시대가 도래 한 것이다. 전통 음식에서 우리의 것을 찾으려는 노력은 최근 여러 방향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음식을 소비하는 공간인 `식사 공간`에 대해서는 미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에만 그치거나, 그 중요성만이 강조되었을 뿐 실증적인 연구가 뒷받침 되지못 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식당의 코스식 상차림의 특징을 반영하고, 식사하는 사람이 중심되는 식사 공간의 모듈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문헌적 연구와 레스토랑 실험 설계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도출한 연구 과제와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은 식사 공간의 물리적 환경을 식사하는 사람 중심에서 파악하고, 모듈개발을 위하여 식사 공간에서의 휴먼 스케일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대상이 되는 한식 상차림의 분석을 하고자하였다. 연구 문제 2는 쾌적한 식사 환경의 연출을 위한 평가 지표의 개발이다. 테이블 데코레이터와 푸드 스타일리스트, 식문화 연구가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심층면접 (depth interview)을 통하여 식사 환경의 니즈를 파악하였다. 심층 면접을 토대로 개인 공간(personal space) 공유 공간(public space), 배선(layout), 쾌적 거리(amenity distance), 심리적 거리(psychological distance)의 5개 중간지표와 25개 세부지표를 추출하여, 식공간연출가 전문가 집단을 대상의 e-mail조사를 실시하였다. 일관성 테스트를 거친 뒤 선별하여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해서 식사환경 평가 지표의 가중치를 선정하였다.
식공간(食空間)
식사 공간의 모듈(Module)
한식 상차림
쾌적한 식사환경의 평가
식사 환경 평가 지표의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