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된 의료지식수준과 감염병 학습행동의도 간 관계 연구 :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자기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 한국광고홍보학회 | 32 pages| 2025.03.07| 파일형태 :
조회 79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과 보호동기이론에 기반해 감염병 상황에서 개인의 감염병 관련 지각된 의료지식수준과 학습행동의도 간 관계를 탐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개인의 지각된 의료지식수준에 따라 감염병의 심각성 및 취약성 인식이 달라지는지,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학습행동의도가 변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 model 80을 이용하여 심각성, 취약성, 자기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각된 의료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심각성, 취약성, 자기효능감을 높게 지각하며, 학습행동의도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성과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의료지식수준과 학습행동의도 간 관계를 매개하였으나, 심각성은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의료지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심각성을 높게 인식하더라도 학습행동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지각된 의료지식수준과 학습행동의도의 관계를 다중매개효과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확장을 도모하였으며, 의료지식 향상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자기효능감과 학습행동의도를 높이고 예방적 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실무적 의의를 지닌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및 연구모형
4.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보호동기이론#건강신념모델#의료지식 수준#감염병 학습행동#자기효능감#Protection Motivation Theory#Health Belief Model#Medical Knowledge Level#Learning Behavioral Intentions for Infectious Diseases#Self-Efficacy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