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플레이디]2024 반려동물 업종 트렌드 리포트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3월 호
- 현대자동차 “기업PR영상홍보” 외 4개 캠페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F1스포츠스폰서링과스포츠마케팅
- [나스미디어] 2025년 2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MEDIA & MARKET ISSUE
자료요약
본 연구에서는 단일 브랜드 쿠폰에서 복수 브랜드가 표기된 대형마트 쿠폰으로 확장하여, 독립변수인 브랜드 친숙도를 제품친숙도와 대형마트의 점포 친숙도로 분리하고, 소비자 성향을 쿠폰이용성과 가치의식성으로 분리하여 종속변수인 쿠폰상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제품친숙도가 쿠폰상환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점포 친숙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가치의식성이 쿠폰상환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결과는, 쿠폰상환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친숙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특히 대형마트의 쿠폰 발행 시 고객 유인을 목적으로 발행함으로써 쿠폰발행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다양한 산업에서 복수 브랜드 쿠폰 발행 시 자사의 시장위치와 쿠폰발행 목적을 고려하여, 쿠폰적용 제품을 부각시킬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를 선택한다면 쿠폰발행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 제품친숙도가 쿠폰상환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점포 친숙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가치의식성이 쿠폰상환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결과는, 쿠폰상환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친숙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특히 대형마트의 쿠폰 발행 시 고객 유인을 목적으로 발행함으로써 쿠폰발행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다양한 산업에서 복수 브랜드 쿠폰 발행 시 자사의 시장위치와 쿠폰발행 목적을 고려하여, 쿠폰적용 제품을 부각시킬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를 선택한다면 쿠폰발행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브랜드 친숙도
2) 쿠폰이용성
3) 가치의식성
4) 쿠폰 상환의도
3. 연구모형의 설계 및 가설설정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설정
3) 연구방법
4. 실증분석
1) 자료의 분석
2) 연구가설의 검증
5.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2. 이론적 배경
1) 브랜드 친숙도
2) 쿠폰이용성
3) 가치의식성
4) 쿠폰 상환의도
3. 연구모형의 설계 및 가설설정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설정
3) 연구방법
4. 실증분석
1) 자료의 분석
2) 연구가설의 검증
5.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브랜드 친숙도
소비자 성향
쿠폰상환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