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환경변화와 지방신문 컨텐츠 경쟁력 제고 방안
한국언론학회 봄철정기학술대회 | 한국언론학회 | 11 pages| 2009.06.12| 파일형태 :
조회 1204 다운로드 2
자료요약
우리나라 신문산업이 직면한 위기 극복을 위해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전문가들의 지혜가 모아지고 있다. 여기서는 다매체 시대, 중앙지의 무차별적인 시장침탈과 이종매체와의 경쟁 등 치열한 시장경쟁 상황에 직면한 지방지의 컨텐츠 차별화 방안에 관해 논의해 보았다. 지방지의 차별화의 방향은 지역성의 강화, 멀티플 저널리즘 시대에 대비 원소스 멀티유스 및 온-오프병행전략, 엡 2.0시대에 조응한 시민참여 저널리즘 구현으로 정리해 보았다.
구체적인 지방신문 컨텐츠 차별화 방안으로는 지역밀착, 생활밀착 보도 활성화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지역밀착 보도는 독자의 기사 수요에 민감한 신문, 독자의 관심사에 부응하는 기사 개념의 확대, 제작과정에 독자의 참여가 최대한 허용될 수 있는 독자와 함께 만드는 신문, 지역사회의 정보욕구에 철저하게 봉사하는 신문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지방지의 컨텐츠를 차별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저널리즘 패러다임이라 하겠다.
지역 신문간, 또는 지역의 이종매체간 제휴 및 협력방안도 중요한 시사점이며, 1인 미디어로 그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는 블로그 공동체의 구현, 멀티 저널리즘 시대를 대비한 멀티뉴스룸 통합 작업 등도 지방지 컨텐츠의 경쟁력을 강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사료된다. 그동안 중아 뉴스의 연합의존은 지방지의 연합 예속화를 가져오는 등 많은 폐해를 야기했다는 점에서 연합에 의존을 끊고 지역성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차별화된 지방 신문으로 승부수를 띄우고 있는 강원도민일보의 사례는 교훈적이다.
아울러 지방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첫째, 국가 정책적 차원에서 지원이 요청된다. 한국 사회의 중앙집권적 구조에서 비롯된 지역신문의 열악한 조건은 자체적으로 극복이 어렵기 때문에 국가 정책적 지원을 통한 시장 조건을 완화해주는 것이 요구된다. 둘째, 신문 산업적 차원의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다. 지역신문과 중앙일간지의 통합, 지역 신문의 연합 등 지역신문과 포털의 통합 등의 산업적 차원에서 매체와 매체 간의 통합을 통한 시너지 창출의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신문 차원의 자체적 변화 시도가 필요하다. 기존의 매체 지형 안에서 지역신문의 내부 조직과 관행의 변화를 통해 지역신문의 경영합리화를 이룩하고 상품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다.
목차
1. 지방분권과 지역신문의 역할

2. 지역신문의 위기와 개선 과제

3. 지방신문 컨텐츠 차별화 방향
(1) 지역성의 강화
(2) 컨텐츠 활용성의 강화; 멀티플 저널리즘 시대에 대비

4. 지방신문 컨텐츠 차별화 방안 및 사례

5. 맺는 말

<맺는말>
미디어 환경변화 지방신문 컨텐츠 차별화 방안 신문산업 매체간 통합 지역신문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