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르바는 밤에 날개를 펴는가 경제소문의 이론적 적용
2009 춘계학술대회 | 한국광고홍보학회 | 2 pages| 2009.06.03| 파일형태 :
조회 1435 다운로드 4
자료요약
사람의 발자국이 있는 곳에는 소문이 존재한다. 소문은 인간 사회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커뮤니케이션 현상이다. 조직 내에서 의사소통의 70%가 소문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할 정도이며(Crampton, Hodge & Mishra, 1998), 전달된 소문의 75% 정도가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Robbins, 2005). 소문의 역할은 조직 내에서 그치지 않는다. 기업, 정부와 같은 조직체는 물론이고 정치인, 연예인 등 유명인의 소문을 현대인들은 날마다 직,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있다.
미국의 P&G는 2005년 자사 제품인 Swiffer Wetjet으로 집안 마룻바닥을 워싱턴에 사는 직 정부 변호사가 청소했는데, 이를 밟고 다니던 이 변호사의 발바닥을 핥은 애완견이 죽게 됐다는 소문으로 곤욕을 치렀다. 이 소문은 P&G가 동물학대 방지를 위한 미국협회(American Society fo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에 의해 사실무근임을 판명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도 온라인상에 나타나 있다. 같은 해 Costco는 실제 사주는 중국인이며, 회사명도 China Off Shore Trading Company의 앞 글자를 따서 지은 것이라는 거 없는 소문에 시달려야 했다. 최근 SK 텔레콤은 올해 3000억 원 규모로 집행하는 기업 광고 카피에 대한 소문으로 긴장한 적이 있다. 이른바 ‘비비디바비디부’ 로 불린 이 기업 고에 나오는 고대 히브리어로 된 신데델라의 소원성취 주문이 ‘어린아이를 불태우면 소원이 이뤄진다’는 뜻이라는 것이다. 이 소문은 고대 히브리어 전문가에 의해 허위로 판명이 나면서 소멸되었지만 소문이 기업의 브랜드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힐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목차
소문연구
미네르바 경제소문 소문이론 기업광고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광고홍보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