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산 쇠고기 수입논란에 대한 정부의 위기극복 메시지 와 공중 반응 : 서울지역 대학생 공중의 반응을 중심으로
자료요약
이 연구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 파문에 대한 정부의 위기극복 메시지와 대학생 공중의 반응을 살펴본 것이다. 정부의 위기극복 메시지에 대한 공중의 동의 정도를 검정한 결과, ‘방어적’ 메시지에 대한 공중의 동의정도는 예상대로 낮았으나, 위기정도가 심화되면서 공중의 여론을 수용한 ‘수용적’ 메시지에 대해서도 공중의 동의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위기발생 초기단계의 정부 메시지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스테이크홀더에 대한 사전, 사후 신뢰 확보에 성공치 못했음을 보여준다.
공중의 유형별 정부 메시지에 대한 반응은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집단의 경우 ‘활동적 공중’ 집단은 그렇지 않은 공중집단에 비해 정부 메시지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정도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찬성하는 집단의 경우 ‘활동적 공중’ 과 그렇지 않은 공중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다수 여론을 형성하고 있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공중 집단의 경우에만 활동공중이 비활동 공중에 비해 정부의 방어적 메시지나 수용적 메시지에 대해 보다 비판적인 태도와 행동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공중의 유형별 정부 메시지에 대한 반응은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집단의 경우 ‘활동적 공중’ 집단은 그렇지 않은 공중집단에 비해 정부 메시지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정도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찬성하는 집단의 경우 ‘활동적 공중’ 과 그렇지 않은 공중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다수 여론을 형성하고 있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공중 집단의 경우에만 활동공중이 비활동 공중에 비해 정부의 방어적 메시지나 수용적 메시지에 대해 보다 비판적인 태도와 행동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목차
1. 문제제기
2. 이론적 고찰
1) 위기극복과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2) 공중의 유형과 대응전략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4.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 분석
2) 정부 메시지 유형에 따른 공중의 반응
3) 공중의 유형에 따른 정부메시지에 대한 반응
5. 결론 및 연구한계
참고문헌
2. 이론적 고찰
1) 위기극복과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2) 공중의 유형과 대응전략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4.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 분석
2) 정부 메시지 유형에 따른 공중의 반응
3) 공중의 유형에 따른 정부메시지에 대한 반응
5. 결론 및 연구한계
참고문헌
위기관리
메시지 유형
공중 유형
방어적 메시지
수용적 메시지
미국산 쇠고기
수입논란
활동적 공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