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의 적절한 법규범적 책임성 기준 설정을 위한 논의:“공동관리(Co-Management)" 페러다임을 제안하며
인터넷에서의 뉴스의 생산과 유통의 발전방안' 세미나 | 한국언론학회 | 21 pages| 2009.05.19| 파일형태 :
조회 595 다운로드 3
자료요약
1. 문제제기
▲인터넷의 영향력 증대(방송통신위원회, 20082))
- 뉴스정보 이용매체 의존도: 인터넷>텔레비전>신문
- 일상생활정보 의존도: 인터넷(83.1%)>텔레비전(10%)>신문(4.1%)
- 일일 이용시간: 인터넷(근무외 2시간22분)>텔레비전(1시간 25분)?휴대폰(52.5분)
- 매체신뢰도: 인터넷>텔레비전>신문
- 매체보도 공정성: 텔레비전>인터넷>신문
▲인터넷 포털사이트는 초기에 다른 웹페이지를 안내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뉴스, 전자상거래 서비스 등 부가수익모델을 개발하면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토털(Total)’ 사이트로 변모해왔다. 최근 포털 서비스의 확장과 함께 언론매체로서 포털이 갖는 사회적 영향력과 파급력이 매우 커지고 있다.
▲포털의 영향력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지난 2005년 말부터는 포털의 사회적 규제방안에 대한 논의가 등장하였는데, 2008년 12월에는 한나라당이 포털의 뉴스 서비스를 신문법과 언론중재법상에서 처벌하도록 하는 내용의 언론법 개정안을 국회에 발의하였다.
▲최근 포털에서 발생되는 문제가 많아지면서 포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는 누구나 인식하고 있지만, 법적 규제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국내의 인터넷 포털서비스와 관련한 기존의 법규범적 논쟁과 규제 형태를 살펴보고, 향후 효율적인 포털 관리 방향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차
1. 문제제기

2. 국내 인터넷 관련 법제도 현황
1) 정보통신망법상의 인터넷 관련 법률 개정안 현황
2) 포털사이트에 관한 언론관계법 현황

3. 국내 인터넷과 포털 관련 법규범적 논쟁의 이해
1) 포털뉴스 서비스 관련, 신문법·언론중재법 개정에 대한 논의 (포털의 언론성 문제)
2) 사이버모욕죄 관련 정보통신망법 개정
3) 저작권법 개정
4) 제한적 본인 확인제(혹은 인터넷 실명제) 확대 시행
5) 임시조치에 관한 논쟁

4. 대안적 법규범 패러다임의 제안
:공동관리(co-management) 개념을 중심으로
1) 기존의 언론 규제 모델들
2) 대안적 ‘공동관리(Co-Management)' 패러다임의 제안

<주요 참고 문헌>
포털 광고매체 공동관리 온라인매체 인터넷매체 광고매체 포털사이트 사이버모욕 언론 규제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