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뉴스 서비스와 뉴스 유통 변화
한국언론학회 | 한국언론학회 | 36 pages| 2017.09.08| 파일형태 :
조회 2400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2000년 4월부터 2017년 2월까지 네이버에 유통되었던 뉴스기사 80,428,892건을 수집하여 분석한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네이버 뉴스는 2000년 5월부터 본격적인 온라인 뉴스 유통을 시작했고 현재까지도 뉴스 유통환경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포털 뉴스 유통을 1) 경제지 중심의 뉴스 공급, 2) 스포츠지 독점으로 인한 스포츠연예 매체 다변화, 3) 통신사 중심의 뉴스 유통, 4) 스포츠연예 기사의 폭증과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이 네 가지 시기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는 플랫폼으로서 포털이 어떤 뉴스를 보여주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시해준다. 기존 논의되던 연성화나 어뷰징 현황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이후 뉴스 유통의 변화를 통해 플랫폼에 대한 정책적이고 제도적인 차원의 논의 필요성을 제시해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논의들을 데이터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기존 온라인 뉴스 유통 현황을 정리하고 포털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d 80,428,892 news articles circulated by the Naver, which is the largest online portal in South Korea, from April, 2000 to February, 2017. Naver News started an online news service from May 2000. Naver ha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news distribution environment. This study classified the historical period into four categories: a) a financial newspaper centered supply, b) a diversification of news organization due to sports news monopoly, c) a wire services centered supply, d) explosion of entertainment news supply.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centration of news is gradually decreasing. However, considerable caution must be required in interpreting the results si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whole of the published news, not considering the degree of exposure to the readers. It rather confirms that we need to discuss their accountability as a platform. This study suggests a description of the portal news status for future discussion.
목차
1. 서론
2. 연구 배경
3. 연구 방법
4.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포털 뉴스 온라인 저널리즘 뉴스 유통 웹 스크레이핑 portal news online journalism news distribution web scraping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